가항반원: 동심원 구조를 갖는 태풍의 왼쪽 반원 부분으로 중위도 지방에 진행할 때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풍속이 약한 구역.
가시광선: 사람의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빛. 빛을 눈으로 느낄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그 빛의 파장의 길고 짧음에 좌우됨. (파장은 약 4,000∼8,000Å)
간접순환: 적도와 위도 30°사이의 해들리 순환과 극과 위도 60°사이의 극세포 순환에 의해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순환.
강수: 비, 눈, 우박 등이 지상에 내림.
강수량: 비, 눈, 우박 등이 지상에 내린 물의 총량.
강설량: 어느 기간 동안에 내린 눈의 양. 눈을 녹이거나, 그 무게를 측정하여 물의 양으로 바꾸어 나타낸 것이 강설량임.
강우량: 어느 기간 동안에 내린 비의 양. 땅 위를 흘러가거나 스며들지 않고, 땅 표면에 괴어 있다고 가정할 때의 괸 물의 깊이로 나타냄. 우리 나라의 연평균 강우량 은 약 1,200mm 정도로 비교적 많은 편임.
건구온도: 건습구 습도계의 두 개의 온도계 중 물 축인 헝겊으로 싸지 않은 보통 온도계가 가리키는 온도.
건습구습도계: 보통 온도계와 물 축인 헝겊으로 싼 온도계를 이용하여 물의 증발하는 정도를 재어 습도를 측정하는 장치.
건조단열 변화: 불포화 상태의 공기가 연직 상승 운동을 하면서 외부 와의 열의 출입이 없이 행하여지는 물체의 상태변화.
건조공기: 불포화공기.
경도풍: 경도풍은 높이 1km 이상의 지면마찰이 거의 없는 상공에서 등압선이 원형일 때, 기압 경도력과 전향력, 원심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원형으로 부는 바람.
계절풍: 해양의 열용량이 대륙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대륙은 빨리 데워지고 빨리 냉각되므로 여름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온도가 높아 저압부가 되고, 겨울에는 온도가 낮아 고압부가 되어, 바람이 여름에는 해양에서 대륙으로 불고, 겨울에는 대륙에서 해양으로 불게 되는 열적 순환
고기압: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상태. 그러나 어느 기준값 이상의 기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을 말함. 바람은 기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을 향해 불어 나가는데,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이며 남반구에서는 그 반대임. 고기압 권 안에서는 보통 하강 기류가 있으므로 맑은 날이 되는 경우가 많음.
고적운: 고도 2∼6km의 중층운으로 뭉클뭉클하게 덩어리진 양떼 같은 구름 고층운: 고도 2∼6km의 중층운으로 두께가 얇고 회색 차일 같은 구름
곡풍: 낮에 산 사면의 부등가열로 골짜기에서 산 정상으로 부는 바람
골바람: 곡풍 공기: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하층 부분을 구성하는 무색 투명한 기체. 지상 20km 이하에서는 그 성분이 거의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며, 질소 78%, 산소 21%, 기타 1%의 혼합 기체로 구성됨.
공기오염: 그을음, 재, 먼지, 유독 가스 등으로 공기가 더럽혀진 상태. 공기 오염은 연료를 태우는 데서 주로 생기며, 화학 공업에서 나온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도 공기 오염의 주요한 원인이 됨.
과냉각수: 물이 녹는점(0℃) 이하로 냉각되었어도 액체상태 그대로인 것
과냉각수적: 대기중에서 녹는점(0℃) 이하로 냉각되었어도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물방울 광화학반응: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그 빛 에너지에 따라 일어나는 화학 반응. 열반응으로서는 일어나지 않으며, 빛을 쪼임으로서 일어나는 반응은 대단히 많다. 빛에 의한 분해, 합성, 이성질화, 산화, 중합 등 중요한 반응이 포함됨.
광화학스모그: 배기 가스 속의 탄화수소와 질소 산화물이 자외선을 받아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미세한 먼지로 되고, 여기에 옥시던트(산화제) 등과 같은 다른 광화학적 생성물질이 용해, 흡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한낮에도 시야가 나쁘고 눈이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켜 심할 경우 생명에 위협을 주기도 하는 것. 이 현상은 보통은 자외선이 강한 맑은 날에 발생하지만, 곳에 따라서는 흐린 날이나 야간에도 발생하는 일도 있으며, 그 원인 물질은 옥시던트·아크롤레인· 질산 메틸 등으로 알려져 있다. 대기가 광화학 스모그로 오염되면 눈이나 목에 자극이 오지만, 경련이나 의식 불명이 되는 수도 있음.
구름: 대기 중의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빙정)가 모여서 하늘에 떠 있는 것.
구름분류: 구름의 과학적 분류는 1803년에 하워드가 최초로 제안하였고, 국제적인 구름의 분류는 모양에 따라 10종의 기본형과, 높이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및 수 직으로 발달한 구름으로 구분됨. 이 밖에도 바다의 물결처럼 보이는 파상운(波狀雲), 하나의 구름에서 여러 개의 구름탑이 솟아오른 탑상운(塔狀雲), 볼록 렌즈와 같은 렌즈 운, 젖가슴처럼 생긴 유방운, 한 곳에 모여지는 듯한 수렴운(收斂雲) 등이 있음.
구름 씨뿌리기: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 하기 위하여 구름 속에 빙정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가루나 요오드화은을 뿌려 주는 것
권운: 고도 6∼13km의 상층운으로 털실이나 새털 같은 구름
권적운: 고도 6∼13km의 상층운으로 흰 조개 같은 구름 권층운: 고도 6∼13km의 상층운으로 흰 베일을 덮은 것 같은 구름으로 햇무리나 달무리를 만들기도 함.
극고기압: 냉각에 의한 공기의 침강으로 양극지방에 형성 되는 고기압 극광: 고위도 지방의 하늘에 나타나는 발광 현상. 그 원인은 태양에서 발산하는 대전 입자가 지자기(地磁氣) 때문에 양극으로 끌려가 고층 대기를 구성하는 원자와 충돌하 여 빛을 내기 때문임. 발광의 바닥 높이는 90∼130km이며, 색깔은 황록색이나 암적색을 띰(오로라)
극동풍: 극지방에 침강한 공기가 지면을 따라 저위도로 이동하면서 전향력을 받아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편동이 되는 극지방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극풍 혹은 극편동풍)
극야: 고위도 지역이나 극점 지역에서 겨울철에 오랫동안 해가 뜨지 않고 밤만 계속되는 현상. 백야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으로, 북반구의 고위도에서는 11월 중순에서 1월 말까지,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이므로 반대 시기에 나타남.
극풍: 극지방에 침강한 공기가 지면을 따라 저위도로 이동하면서 전향력을 받아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편동이 되는 극지방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극동풍 혹은 극편동풍)
기단: 지름이 1000km 정도의 규모를 갖는 기온과 수증기의 양이 거의 일정한 공기 덩어리 기류: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흐름 (상승이나 하강하는 공기의 흐름을 말함)
기상: 날씨가 덥거나, 춥거나, 흐리거나, 개거나 하는 대기 가운데서 일어나는 모든 물리적 변화의 현상. 기상의 구체적인 범위는 기압, 기온, 상대 습도, 증기압, 바람, 강수량 등.
기상경보: 기상 현상으로 인하여 커다란 재해가 예상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하여 발하는 경보.
기상개황: 한 지방의 부근 전반에 뻗친 기상의 대체적인 상황
기상관측: 대기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 기압,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고, 구름, 안개, 비, 눈 등 대기의 모든 현상을 관측하는 일. 기상은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그 변화 속도가 크기 때문에 기상 관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여러 곳에 있어서의 관측 자료가 비교되어야 함. - 국제적으로 통일된 규격에 의해서 관측되어야 함. - 언제, 어디서 관측한 것인가를 명백히 하여야 함. - 가능한 한 짧은 시간 간격으로 관측되어야 함. 기상 관측에 이용되는 계기로는 우량계, 풍속계, 증발계, 일사계, 운고계 등 여러 가지가 있음. 또 높은 대기층의 관측 자료는 기구나 라디오존데 따위를 이용함. 현재는 기상 레이더와 기상 인공 위성이 널리 이용되며, 모든 관측 자료 와 기상도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 정밀하게 분석되고 있음.
기상요소: 기상 요소로는 천기(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의 대기 상태)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 쓰이는 것으로 기온, 기압, 풍속과 풍향, 습도, 운량과 운형, 강수의 6요소가 있 음. 넓은 뜻으로는 일조, 시정(대기 혼탁 정도), 번개, 천둥 등의 현상을 포함함.
기상위성: 기상 관측 및 관측 자료를 전송, 중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인공 위성. 현재 정지 기상 위성과 극궤도 기상 위성이 사용되고 있음. 1959년 2월에 발사된 미국의 뱅가드 2호가 최초의 기상 위성이고, 정지 기상 위성은 적도 위 약 3만 5,800km에서 원궤도를 지구의 자전과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자전함. 따라서 지구에 대해 상대 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임. 궤도의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위성 바로 아래의 점을 중심으로 반지름 약 6,000km의 범위를 항상 관측함. 극궤도 기상 위성은 어떤 지점의 상공을 매월 2회, 일정한 시각에 통과하는 것으로 미국의 타이로스-N은 고도 약 850km, 경사 각도 99°의 극궤도를 약 100분 주기로 돌고 있음. 정지 기상 위성에 비해 고도가 낮으므로 정밀한 관측에 적당함. 어느 것이든 기상 위성의 주된 임무는 - 적외 검지기로 구름의 분포를 식별하고, 지면·해면과 구름 상부의 온 도를 측정하는 일 구름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공의 - 바람을 관측하는 일 - 송신 장치를 갖춘 부표(buoy)나 선박, 항공기 등의 기상 관측 보고를 중계하는 일 - 각지 의 기상대로 관측 자료를 전송 중계하는 일을 함.
기상주의보: 기상 현상에 의하여 다소의 피해가 있으리라고 예측될 때 주의 시키기 위하여 발표하는 예보
기상통보: 기상 개황이나 실황을 일반에게 알리는 보도 기상특보: 기상 통보 이외에 때에 따라 알리는 특별한 보도
기상학: 행성의 대기 중의 기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의 총칭. 지구뿐만 아니라 화성이나 금성 따위의 대기도 그 대상이 되며,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관측·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론적으로 밝히는 기초 기상학과 그것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다른 분야에 활용하는 응용 기상학으로 크게 나누어짐. 기초 기상학에 는 기상 역학·기상 열역학·물리 기상학 등이 있으며, 응용 기상학에는 일기 예보·농업 기상·산업 기상·항공 기상·해상 기상·위성 기상 등의 분야가 있음.
기압: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공기 기둥의 압력 (단위 면적의 공기 기둥 안에 있는 공기의 질량에 작용하는 무게)지구 표면의 단위 면적 위에 덮인 공기층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대기의 압력. 기압은 1643년 이탈리아의 토리첼리가 처음으로 한쪽 끝이 막힌 길이 약 1m의 유리관에 수은을 채워 수은이 든 그릇에 거꾸로 세우면, 유리관 속의 수은이 밑으로 내려가다가 약 76cm의 높이에 멈추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를 ‘토리첼리의 실험’이라 함. 이 때 높이 76cm의 수은주의 밑면에 작용하는 압력과 같은 대기의 압력(대기압)을 1기압이라 함. 단위에는 밀리바(mb), 토리첼리(Torr), 헥토파스칼 (hpa) 등이 있는데 현재는 헥토파스칼을 사용함. 1기압 = 760mmHg = 760Torr = 1013mb = 1013hpa
기압 경도력: 두 지점 사이에 압력이 다를 때 압력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작용하는 힘.
기압계: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 일반적으로 수은 기압계와 아네로이드 기압계가 쓰이며, 매우 낮은 기압의 측정에는 피라니 기압계가 쓰임.
기압골: 기압이 띠 모양으로 낮게 되어 있는 부분. 고기압과 고기압 사이에 생김. 일기도에서는 등압선이 가늘고 길게 뻗어 있음. 일반적으로 기압골이 서쪽으로부터 다가오며 날씨는 나빠지게 됨.
기압의 마루: 일기도에서 고기압의 중심으로부터 길게「V」자 또는「∩」자 모양으로 뻗은 고압부로 날씨가 맑음.
기압의 단위: 1기압 = 76cmHg = 1033g중/cm2 = 1013×10 3dyne/cm2 = 1013mb = 1013hPa 기온: 대기의 온도. 일상 생활에 쓰이는 기온은 지면으로부터 1.5m 높이의 것을 말함. 기온은 지면에서 약 10km 정도까지는 높이가 100m 높아짐에 따라 약 0.5∼0.6℃씩 낮 아지는데, 이러한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범위를 대류권이라 함.
기온측정: 지표면 부근의 기온은 보통 수은 온도계로 측정함. 이 때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서 직사광선을 피하여 측정해야 하며, 보통은 백엽상에 온도계를 걸어 놓고 일정 하게 측정함. 높은 곳의 기온은 라디오존데에 의해 측정하며, 이보다 더 위인 100km까 지는 로켓을 이용하여 측정함. 또 그 이상의 기온은 기상 위성 따위를 이용한다. 관측 된 기온은 보통 섭씨 온도(℃), 화씨 온도(℉)로 나타내며, 기온을 하루에 한 번만 측정 할 경우에는 오전 9시의 값을 취하나, 대체로 하루의 평균 기온은 오전 3시부터 6시간 마다 또는 오전 2시부터 4시간마다 관측한 값을 평균하여 구함. 그러나 최고 온도계와 최저 온도계를 설치하여 그 날의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을 알 수 있다면, 그 두 값을 평균하여 일평균 기온을 구하게 되며 이 때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를 일교차라 함.
기온 역전층: 고도 11km이하의 대류권내에서는 상공으로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데 지표면의 복사 냉각이나 찬공기의 유입으로 하층의 기온이 상층보다 낮아진 기층으로 매우 안정하여 바람이 없고 오염물질의 확산이 안되며 서리, 이슬, 안개, 스모그 등이 생김.
기온감률: 대기층에서 상공으로 가면서 나타나는 기온 변화율
기층의안정도: 상승이나 하강하는 공기가 단열변화를 할 때 주위공기의 온도와 비교하여 계속 움직일 것인지(불안정), 제자리로 되돌아 갈것인지(안정), 그대로 멈출 것인지(중립)를 판단.
기후: 어떤 지역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황. 기상 기구(WMO)에서는 1931년부터 1960년까지의 30년 동안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삼고 있음.
기후요소: 기후는 대기 현상의 각종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기후 요소의 결합의 차이에 의하여 각 지역의 기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남. 기후 요소에는 기온, 습도,강수량, 바람, 증발, 일조(日照), 일사(日射)가 있다.
기후인자: 기후는 기후 요소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지리적 원인에 따라서도 상당한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요소를 기후 인자라 함. 기후 인자는 기후의 분포를 명백히 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위도, 해발 고도, 수륙 배치, 해류, 지형 및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등이 이에 속함.
기후변동: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기후의 변동(변화). 현재와 비교하여 온난 ·냉량·한랭 또는 건조·습윤한가를 검토함. 기후 변동의 연구에는 빙하·단구(段丘)·해침·해퇴 등의 지형학적 증거, 꽃가루 분석에 의한 방법 또는 나무의 나이테 분석에 의한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됨. 최근에는 산소의 동위 원소 존재비에 의한 수온 변 화의 역사를 추적함으로써 기후 변동을 추적하고 있음.
꽃샘추위: 이른 봄이 되면 겨울 동안 맹위를 떨치던 시베리아 고기압이 후퇴하고, 시베리아 기단에서 분리되어 나온 이동성 고기압과 중국 대륙에서 발생한 온대성 저기압이 3~4일 간격으로 교대로 통과한다. 고기압이 통과할 때는 날씨가 맑고 기온이 올라가고, 저기압이 통과할 때는 봄비가 내려 식물은 싹이 트고 꽃봉오리를 맺는다. 이와 같이 봄이 완연해 갈무렵 약화되었던 시베리아 기단이 세력을 회복해 매서운 추위가 강타하게 되는데 이를 꽃샘 추위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