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로 이것은 엄청나게 이상한 일이다. 수개월 전에 다리가 절단된 환자가 이미 절단되어 없어진 다리 부위에 통증을 느낀다고 비통하게 호소했는데, 이를 눈으로 보고 귀로 듣지 않고는 그것을 믿기 힘들 것이다."
이 증상에 병명이 붙여진 시기는 미국 남북 전쟁 때다. 하루 전만해도 건장한 군인들이었지만 전투를 치르고 야전병원에 실려 온 그들은 사지를 절단해야했다. 절단된 환자를 돌보던 군의관 미첼이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팔 다리가 절단되어 없어진 후에도 환자들은 절단면뿐 아니라 절단되어 없어져 보이지 않는 부분에도 마치 팔 다리가 붙어 있는 것처럼 극심한 통증을 호소했던 것. 사지가 절단되어 없어진 후에도 마치 실존하는 것처럼 계속 감각을 느끼는 이 상태를 미첼은 환상지(phantom limb) 또는 환상통(phantom pain)이라 불렀다. 그 후 의학계에서는 '오랜 세월 동안 뇌에 각인된 신체의 이미지 중 그 일부가 후천적 사고 등으로 갑자기 없어졌다 해도 마치 그대로인양 그 이미지가 없어지지 않고 환상적 감각으로 남아있는 증상'을 병으로 인정했다. 환상지는 특별난 사람들의 특별한 증상이 아니다. 사지가 절단된 환자들 중 약 80% 이상이 경험하는 일반적 현상이다.
환상지는 육체의 병이 아니라 상념(想念)의 병이다. 상념에서 비롯된 병은 육체가 없는 사후에도 계속된다. 구명시식에 등장한 영가의 현상에서 더욱 명확하다.
말년에 심한 당뇨로 다리에 부작용이 생겨서 오랫동안 절름발이로 고생하다가, 마지막에 다리를 절단하고 생을 마감했던 영가가 나타났다. 초혼되어 가족 앞에 나타난 영가는 여전히 절름발이였다. 차길진 법사(후암미래연구소 대표)가 다리를 수술, 절단한 사실을 지적하자 영가는 '어, 내 다리가 절단되었지'하고 당황해하다가 '영가니까 이제 멀쩡해도 되죠, 법사님?'하고 멋쩍게 웃었다. 살아생전 육신의 느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던 것. 죽은 지 몇 백 년이 흘렀어도 여전히 죽은 줄 모르고 구천을 떠도는 영가도 '팬텀 신드롬(phantom syndromeㆍ환상증후군)'의 일례다.
차 법사는 우리 사회가 팬텀 신드롬에 빠져 있다고 우려한다. 이른바 '내가 왕년에 말이야' 병이다.
"전직 고위관리는 사석에서도 이유 없이 엄지 손가락을 까딱이는 버릇이 있었다. 알고 보니 수십 년간 고위직에 몸담으면서 집무실 책상의 벨을 엄지 손가락으로 눌러 사람을 부리던 습관이 퇴임 후에도 지속되고 있었다."
절단된 사지가 여전히 살아있는 것으로 착각하듯이, 현재 머릿속에는 한창 때의 요직에 머물러 있어 '의원님', '장군님', '회장님', '총장님', '장관님' 등등 지금에도 여전히 전관예우를 바란다는 것이다. 그래서 '김 선생!'하고 부르면 대꾸도 없다가 '김 총장!' 해야 그제야 뒤를 돌아본다.
차법사는 이렇게 예방책을 제안한다.
"없어진 걸 없다고 받아들이지 못해서 팬텀 신드롬이 생긴다. 체념할 때 체념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퇴직을 하거나 인생의 황혼기에 들어서면 먼저 전화번호부부터 정리하여 매년 절반씩 줄여보라. 그리고 만나는 사람이나 횟수도 절반으로 줄여나가라. 꽃이 피기가 얼마나 어려운가. 하지만 지기는 너무 쉽다. 아쉽지만 이게 삶의 순리다."
'이미 마음을 비웠다'. 팬텀 신드롬에 빠진 사람들 가운데 자주 하는 말이다. 이미 비웠다면 특별히 비울 것도 없어야 하는데, 마음을 비웠다는 것은 무언가 가득 차 있다는 고백일 따름이다. 마음 비웠다고 공언하는 사람 치고 진정으로 비운 사람을 찾기 어려운 까닭이다.
작가/김영수(paanmiso@hoo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