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공학 IE ; industrial engineering
생산활동에 있어서 인력, 자재, 설비, 기술, 자금 등의 종합적 시스템의 설계 · 개선 및 설정에 관한 문제를 과학적 판단에 의해 다루는 기술 또는 개념의 체계. IE는 기업의 경영에 대해서 사회과학의 전문지식과 함께 수학, 물리학 및 공학적 설계, 해석원리 등의 자연 과학적 지식과 원리, 덧붙여 인간의 행동원리를 응용하여 경영의 여러 요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종합적인 시스템 형성의 관점에서 조직적으로 조정하는 관리공학이다.
가장 간단하게 표현하면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공학’이라고 할 수 있다. IE는 체계적으로, 1) 관리전반에 관한 것으로 과학적 관리법, 시스템공학, OR 등이다. 장기경영계획을 위한 각종 경영 예측, MAPI법과 같은 설비계획, 신제품의 연구 · 계획 · 평가, 정보시스템 설계 · 관리, 사무자동화, 상품계획 등이 있다. OR(operation research)를 이 속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OR는 여러 가지 IE의 내용을 전개하는 기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생산(작업)에 관한 것으로, 생산관리 · 공정관리로서 IE의 중심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① 작업연구 : 시간분석, 동작분석, 작업측정, 공정분석 등 ② 공장계획 : 설비배치, 공정계획, 물류계획 등 ③ 원가관리 : 비용분석, VE/VA, 동력관리 등 ④ 생산관리 : 재고관리, 품질관리, 공수관리, 외주관리 등 ⑤ 공정관리, 일정계획 : PERT · CPM 등 ⑥ 설비관리 : 설비보전계획 등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실체의 관리에 대해서 계량적인 표준설정과 실적 · 표준의 통제가 이루어진다.
3) 기타로 산업디자인과 같은 것이 있다. IE의 도입 개념은 관리의 과학화이지만 그 구체적인 주체은 IE부문이 된다. 이것은 전문부서일 수도 있고 각 IE 내용을 분담하는 각종 부서일 수도 있다. 문제는 전문부문을 설정하는 것보다 IE 기술자의 육성과 IE적인 사고의 일반화에 있다고 볼 수 있다. IE의 근원은 20세기초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에 의한다. 테일러의 시간연구와 과업관리, 길브레스의 동작연구, 에머슨의 라인, 스텝 분리, 포드의 흐름작업, 예산통제 및 표준원가 계산, 슈하트의 통계적 품질관리, 피어슨의 통계학, 메이어의 인간관계론이 있으며, 이들이 OR와 시스템 개념으로 체계화되어 IE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은 N.위너의 사이버네틱스 개념도 중심이 되고 있다. 사이버네틱스는 인간과 기계장치, 특히 자동제어장치의 구성에 관한 새로운 방향으로 검토하고 체계를 세우는 것이다. 산업공학이 현존과 미래 산업의 최적(생산성)을 추구하는 기본 성격에서 FMS, CIM, 정보통신산업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산업공학은 과거 반세기 이상 비약적인 발전을 하여 왔는데 한국의 IE는 그 시초 단계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각 기업 또는 조직체에서의 IE에 대한 인식은 아직 희박하며 몇몇 대기업에서 이에 대한 안목을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생산성의 향상, 원가절감이라는 한국 기업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어떤 한 분야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기업 자체를 ‘전체적인 시스템’으로 보고 여기에 접근시켜야 된다. 다시 말하면, 인사관리문제, 생산계획과 관리문제, 자재관리와 구입문제, 회사 자체의 조직 및 자원의 할당문제 등 모든 측면에서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는 것이다. |
'理學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광의 원리는 무엇인가? (0) | 2006.07.22 |
---|---|
미적분을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06.07.21 |
[스크랩] RFID의 발전 현황과 적용 전략 (0) | 2006.07.18 |
[스크랩] 수학과 최건호 교수[전산 에르고딕 이론]이 독일에서 출간 (0) | 2006.07.18 |
미적분이란 (0) | 2006.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