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승용 이사님께서 말씀해주시는
★재테크 다이어리★
<목돈 마련 전략 (특히 사회초년생들을 위해)>
>>저축부터 하고 쓰자
1. 푼돈의 위력 (목표: 1억원의 벽을 허물자!!)
요즘은 1억원이 있다고 해서 부자로 대접받지도 못하고 수도권에서 집을 사기는커녕
괜찮은 아파트에 살기위한 전세자금으로도 부족합니다.
하지만 1억원을 모으려면 5년동안 5%금리로 매월 150만원씩 저축해야 하구요,
3년 동안 모으려면 매월 260만원씩 저축해야 모을 수 있는 큰 돈입니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 ‘내 월급이많지도 않은데, 어떻게 1억원을 모으지? 주식이나 해서 불려볼까?”
라고 마음이 바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다른 각도로 생각해 볼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매일 1만원씩만 절약해서 1만원씩 저축을 늘린다면 어떻게 될까?”
라고 접근해 보는 겁니다.
>>>하루에 만원만 절약해 보자 (단위: 만원)
매일 1만원씩만 쓸데없는 데 돈을 쓰지 않고 돈을 모은다면 1달이면 30만원이 됩니다.
이 돈을 5%금리로 5년간 모으면 2,043만원이 되고, 10년간 모으면 4,650만원이 됩니다.
20년 이면 1억, 2,224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만약 수익률을 조금 높이는 노력을 해서 연8%의 수익으로 계산해 보면
10년 이면 5,438만원, 20년 후면 1억 7,180만원이 모아집니다.
어쨌든 10년 후면 대략5천만원을 모을 수가 있습니다.
매월 1만원씩만 아끼게 되면 모을 수 있는 이 돈은 그냥 보너스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만약 저축액을 늘리면 목돈을 모을 수 있는 기간은 이보다 훨씬 줄어들게 됩니다.
1만원을 우습게 여기는 사람은 1만원 때문에 고생하게 된다는 말을 잊지 마셔야 합니다.
2. 종자돈 마련목표를 세우자
푼돈을 소중히 생각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돈에 대한 구체적인 재무목표를 세우는 것입니다.
막연히 많은 돈을 모으겠다고 생각하면 절대로 돈은 모아지지 않습니다.
언제 얼마의 돈을 모아야 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월 얼마씩 저축해야 하겠다고 계산해 보고 이를 실천하셔야 합니다.
얼마를 모으느냐의 금액설정은 너무 커도 현실성이 없지만
너무 금액이 작아도 의욕을 불러일으키지 못합니다.
내가 약간 무리를 해서라도 노력하면 가능한 금액을 목표로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매월 100만원씩 저축이 가능하다면
3년 후에는 3,800만원 정도를 모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보다 욕심을 내서 3년 후에 5천만원을 반드시 만들어 보겠다고 생각하고
월 저축액을 30%늘려서 매월 130만원씩 저축하는 겁니다.
3. 돈 쓰기가 불편한 구조를 만들자
돈쓰기가 불편한 구조란 무엇일까요? 저축부터 하고 남는 돈으로 소비하는 겁니다.
많은 재테크전문가들이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특히 20대나 미혼의 경우에는 소득의 50%이상을 저축해야 한다””라구요.
이 말도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지만 이왕이면 조금 더 욕심을 내서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저축해 본다’라고 생각하고
꼭 써야 할 돈만 남기고 몽땅 저축해 보면 어떨까요?
이런 얘기를 하면 인생 재미없게 돈만 모으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평생 이렇게 하라는 말씀을 드리는 게 절대 아닙니다.
3년~5년만 모아보십시요. 그리고 이 돈을 잘 운용해 보시고
그 다음 부터는 조금 여유를 가지고 사고 싶은 것도 사시고 하고 싶은 것도 하십시요.
하지만 목돈을 모으기 전에는 절대 쓸 생각부터 하시면 안됩니다.
여러분 연봉이 얼마인지 생각해 보십시요. 만약 여러분의 통장에 1억원이 있다면
5%금리로 연봉 500만원을 추가로 받는 것과 같습니다.
2억원이 있다면 연봉 1,000만원의 효과와 같습니다.
어차피 폼나게 쓰지도 못하고 없어질 돈이라면
젊었을 때 돈이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놓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다음 마음의 여유가 생기면 폼나게 살수가 있습니다.
4. 신용카드와 자동차는 가장 큰 방해요소
신용카드와 자동차는 종자돈을 못 만들게 하는 가장 큰 적입니다.
신용카드는 지름신이 강림하시는 가장 좋은 수단입니다.
신용카드는 미래의 소득을 당겨서 쓰게 하는 아주 좋지않은 요물이라고 생각하십시요.
월급날 근로의욕을 상실하게 하는 가장 큰 적이 바로 신용카드입니다.
신용카드 대신 현금을 사용하십시요. 신용카드의 부가서비스는 절대 큰 돈도 아니고
차라리 현금을 사용해서 물건 값을 깎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자동차를 사면 최소한 월저축 50만원 이상이 줄어듭니다.
차라리 여름 휴가 때 멋진 렌터카를 빌려서 즐기십시요.
돈을 모으는데 가장 안좋은 습관은 매월 찔끔찔금 돈을 허비하는 것입니다.
소비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1년에 1~2차례 화끈하게 여행을 가거나 본인을 위해 돈을 쓰십시요.
그래야 티도 나고 후회가 없습니다.
------------------------------------------------------------------------
결혼정보업체 <듀오>의 김혜정 CEO의
★성공 명강의★
< CEO가 되기까지의 비결 >
1. 인맥을 관리하라
한번 맺은 인연은 또 다른 기회로 계속 이어진다.
내가 어느 곳에서 어떤 일을 맡게 되더라도 여기서 끝나지 않고
계속 나에 대한 평가는 따라다니며 또 다른 기회의 발판이 되므로,
처음부터 잘 해야 하고 지금부터 잘 해야 한다.
2. 준비하는 자세
신입사원때부터 어떤 일이든 시키면 하겠다는 의지로 가장 늦게까지 남아서 일했고
모임엔 절대 빠지지 않으며 사람들과 어울렸다.
주어진 일은 아무리 사소한 일들이라도 성실히, 완벽하게, 무엇보다
즐겁게 해 내고자 했고 서서히 일들이 주어졌다.
당장은 작게 보이는 일일지라도
언제 중요한 일이 주어질지 모른다는 준비된 자세가 성공의 비결이다.
3. 긍적적인 사고
김혜정CEO는 신입사원 채용면접을 할 때, ‘그 사람이 얼마나 낙천적인가?’
또 ‘그 사람의 표정이 얼마나 밝은가?’를 눈여겨 본다.
표정이 밝은 사람, 사물을 낙관적으로 보는 사람은 안 될 일도 되게 만든다.
나 자신의 내면에 잠자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일깨우고 끊임없이
성공의 메시지, 감사의 메시지, 행복의 메시지를 스스로에게 보내면
해결되지 않는 것들은 세상에 그리 많지 않다.
<성공 CEO의 비결>
1. 대화형 경영
결혼과 관련된 일, 그리고 여성 직원의 비율이 높은 점 등을 고려,
조직분위기를 잘 이끌어가기 위해 대화경영을 중요시.
똑같이 일하는 엄마이기 때문에 그들의 어려움을 공유.
듀오는 매우 유연하고 열린 조직문화를 가지게 되었다.
2. 업의 본질에 충실 하라
결혼정보업의 수익 모델이 회원의 가입비인 만큼,
회원 수를 많이 확보 하는 것이 관건.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고객만족’ 서비스에는
자연스럽게 회원이 모이게 돼 있다.
3. 안주하지 마라
누구나 한번의 성취를 맛보면 거기에 안주되기 쉽지만 듀오는
대한민국 대표 결혼정보회사에서 만족하지 않고 인생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갈 수 있는 ‘종합 라이프 컨설팅 기업’에 도전.
중국에 진출하여 한류열풍을 타고 한국의 세련된 웨딩문화를
수출하는 방법들을 모색중.
< 결혼이란 무엇인가 ? >
1. 결혼은 연애의 끝이 아닌 진정한 연애의 시작이다.
결혼은 두 사람이 함께 먼 길을 걸어가는 과정.
종착점이 아니라, 서로를 끊임 없이 챙겨주는 긴 연애의 과정의 한 기점.
2. 결혼을 통해 인생이 완성된다
이 세상에 내가 아니면서 나를 완전히 믿어주는 가족이라는 완전한
자기편을 갖는다는 것은 결혼이 아니면 누릴 수 없는 행복한 일.
나 혼자가 아니라 가족의 도움을 받으면서 성공하는 것은 분명 해볼 만한 일.
3. 성공적인 결혼에는 준비가 필요하다
성공적인 사업에는 준비가 필요하듯, 인륜지대사라고 할 수 있는
결혼에도 많은 준비와 공부가 필요.
일본에선 결혼코치 강사, 결혼 스터디 모임 등 혼활풍습 유행.
좋은 배우자를 맞기 위한 준비는 누구에게나, 어느 시기나 필요.
<성공해서 결혼하지 말고, 결혼해서 성공해라>
요즘 분들은 흔히 결혼과 성공을 별개로 놓고 생각한다.
사회적으로 기반을 잡은 다음에 결혼을 해야 한다는 것,
성공을 하게 되면 결혼은 그 다음에 따라오게 된다는 것.
하지만 가정을 이룰 준비를 미리 하고, 인생의 계획에 결혼을 일찍
포함시키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개인의 성공에도 큰 도움.
가정과 성공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고 함께 이루어가는 것.
'處世'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克己心 (0) | 2011.11.24 |
---|---|
[스크랩] 인새의 선명한 나침반을 ?아라 (0) | 2011.06.28 |
[스크랩] 영재 만들기’가 아이 미래 망친다 (0) | 2011.04.08 |
Lead by reading (0) | 2011.04.07 |
[스크랩] 나이들어 대접받는 7가지 비결 (0) | 201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