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사용하면, 뇌(腦)활동 활발
뇌(腦) 박사 조장희 가천 의과학 대학 뇌과학 연구소장의 요즘 화두는 한자(漢字)이다. 한문학자들이 주장해 온 ‘한자(漢字)를 많이 알면 머리가 좋아진다’는 가설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최근 2년간 자기 공명 영상 촬영(MRI) 판독 결과와 씨름하고 있다.
이유는 한자(漢字) 공부가 참 필요한데, 이를 과학적으로 사람들에게 설명하고 알리기 위해서이다. 2011.03월 중순 가천 의과학 대학 뇌과학 연구소 집무실에서 조장희 소장을 만나 한자(漢字) 공부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
조장희 박사는 암(癌)의 조기 진단에 쓰이는 PET(양전자 단층 촬영) 검사의 원천 기술을 1975년 창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一問一答) 인터뷰 내용이다.
● 왜 한자(漢字)를 연구 주제로 다뤘나?
“해외 생활을 청산하고 2005년 가천 의과 대학에서 교편을 잡고서 충격을 받았다. ‘공부 잘하는’ 의대 학생들조차도 한자(漢字)에 대한 소양이 부족하다는 점에서다. 게다가 신문을 펼치니 지면(紙面)에서 한자(漢字)가 사라졌다. 기사에 나온 단어의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려웠다. 그래서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
● 연구는 얼마나 진행됐나?
“약 2년 전부터 3명의 연구원과 함께 MRI로 촬영한 뇌(腦) 사진을 판독하면서 뇌와 한자(漢字)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한자(漢字)를 인식할 때 뇌의 모습을 MRI로 촬영해 이미지를 분석하고 있다. 2011년 1-2월 8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도 진행했다.”
● 임상시험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
“2011년 1-2월 한자(漢字)를 잘 아는 4명과 그렇지 못한 4명 등 총 8명에 대해 실험했다. MRI 판독 결과 한자(漢字)에 대해 식견이 높은 층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단어의 뜻 풀이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자(漢字)을 잘 모르는 사람이더라도 ‘공부’ ‘공해’ 같은 단어를 한문(漢文)으로 보여주면 80%의 정답률을 보였지만, 한글로 보여주니 40%밖에 맞히지 못했다. 단어 40개를 순서대로 주고 암기를 시험한 결과에서도 한글 보다 한자(漢字)의 암기력이 더 좋았다.”
● 한자(漢字)를 사용하면 암기력과 이해력이 높아진다는 이야긴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뇌 안에 있는 ‘연결 고리’ 격인 뇌 신경 시냅스(synapse)의 활동이 더 활발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한자(漢字)를 사용하면 언어. 시각과 관련한 뇌의 부분을 더 사용하게 되어 머리가 좋아지는 것이다.”
● 흔히 나이를 먹으면 ‘머리가 굳는다’고 하는데, 한자(漢字)도 어릴 때 공부해야 하나?
“물론이다. 한자(漢字)도 뇌 신경의 시냅스가 활발하게 움직이는 어릴 때 공부해야 효과가 좋다. 수학. 과학도 어릴 적부터 꾸준히 공부해야 뇌의 수리적 사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고교 시절에 수학을 멀리했다가, 뒤늦게 이공계로 진로를 바꾸기 어려운 이유도 같다.”
● 현행 한자(漢字) 교육의 문제점은 뭐라고 보나?
“정부에서 한문(漢文)을 선택 과목으로 바꾼 것은 정책의 큰 실책이다. 학생들의 뇌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기회가 줄어들었다. 게다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의 정확한 뜻을 모르게 됐다. 당장 1000자 정도만 의무적으로 초등학교 6년간 공부 시켜도 글에 대한 이해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본다.”
● 향후 연구 계획은?
“앞으로 한 달 동안 ‘한자(漢字)로 이름을 쓸 경우 기억을 잘 하는지’를 실험해 볼 것이다. 이번 실험이 마지막 단계이다. 이번에도 결과가 좋다면 한문(漢文)으로 명함을 파면 인맥 관리에 좋다는 이야기가 나올 것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조장희 소장은 기자가 건넨 명함에 적힌 한자(漢字) 이름을 보더니 ‘어질 현(賢)에 못 택(澤)’이라며 뜻을 암기했다. 뜻으로 이름을 암기하면 기억이 더 잘 된다는 개인적인 견해도 덧붙였다. 조장희 소장의 ‘한자(漢字) 프로젝트’ 연구는 2011.04월 중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중앙 선데이, 입력: 2011.03.27)
스크랩: http://blog.daum.net/dosu92
■ 세계 최초의 문자인 배달국(倍達國 BC 3,898-2,333)의 녹도문자(鹿圖文字)는 고조선(古朝鮮 B.C 2,333-238) 시대에 이르러 제3대 단군이신 단군 가륵(嘉勒) 2년(B.C 2,181년)무렵에 가림토(加臨土) 문자로 계승 발전되고, 고조선(古朝鮮)의 가림토(加臨土) 문자는 조선(朝鮮) 시대의 세종대왕에 의해 훈민정음(한글)으로 계승 발전되었다. 한민족(韓民族)이 만들어낸 한글과 한자(漢字)는 음양(陰陽)의 짝이며, 한민족의 고귀한 문화 유산인 것이다.
■ 창힐(倉힐)은 배달국(倍達國, B.C 3,898-2,333)의 자부 선생으로부터 녹도문자(鹿圖文字)를 배웠고, 녹도문자(鹿圖文字)를 계승 발전시켜 창힐 문자를 창안했다. 그리고 창힐은 창힐 문자를 중국에 널리 보급시켰다. 이로써 중국에 최초 문자가 생기게 된 것이다. 창힐(倉힐)은 배달국(倍達國, B.C 3,898-2,333)의 치우천황(B.C 2,707년 즉위)의 제후로서 배달국의 녹도문자(鹿圖文字)를 중국에 전한 사람이다. 창힐 문자는 다시 은(殷 B.C 1,600-1,046)나라 시대에 이르러 갑골문자(甲骨文字)로 발전했다. 은(殷)나라 왕실의 기자(箕子)가 고조선(古朝鮮 B.C 2,333-238)으로 망명하면서 갑골문자를 고조선으로 들여왔다.
그래서, 고조선(古朝鮮 B.C 2,333-238) 말엽에 녹도(鹿圖) 문자, 가림토(加臨土) 문자, 갑골(甲骨) 문자를 함께 사용되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갑골문자(甲骨文字)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었고, 반면 녹도문자(鹿圖文字)와 가림토(加臨土) 문자는 점차 소멸되어 갔다. 그리고, 갑골문자(甲骨文字)는 다시 한자(漢字)로 발전하였다.
'腦力'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세계 뇌 과학 선두주자 예일대 이대열 교수 (0) | 2011.11.11 |
---|---|
창의력+ (0) | 2011.11.09 |
수면은 ‘비렘수면’(Non-REM·Rapid Eye Movement)과 ‘렘수면’(REM)으로 (0) | 2010.12.31 |
[스크랩] 고어텍스, 창의적인 조직의 산물 - 시사인 2010.12.18자 中 (0) | 2010.12.23 |
[스크랩] 두뇌를 활발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음악 ~잠재의식효과~ 1.미동 (0) | 201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