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쉬운글]한국경제의 본질, 그리고 미래
- 모르면배우는거다
- 번호 545773 2009.02.10 IP 219.109.***.62
* 저는 경제 전문인이 아니고, 인문계열 종사자도 아닙니다.
* 최대한 쉽고 심플하게 쓰겠습니다.
경제란
A.(고교수준) 재화/용역을 제공하거나 매매하는 행위
B.(현실수준) 빚(채무)를 매매하는 행위
A가 실물경제, 서민경제입니다.
B는 허수경제, 노예경제입니다.
(*잘 기억해 두세요, 아래에서 써먹을겁니다)
건전한 경제
A의 비율이 B보다 높은 것이 건전한 경제입니다.
B는 경제적 가치가 문서상(숫자상)으로만 존재하며, 매매/변조가 쉬워집니다.
A와 B에 해당하는 산업
- A에 해당하는 산업
재화 생산에 노동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산업
재화 유통, 판매에 해당하는 산업
산업 전체를 보면, 결과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
- B에 해당하는 산업
계약에 기반한 모든 종류의 금융업 : 은행/보험/카드사
산업 전체를 보면, 결과적으로 아무 가치를 창출하지 않음
-----------------------------------------------------------------------
*쉬운 비교를 하자면, 가정용 인터넷 산업과 생명보험업을 예로 들어봅니다.
가정용 인터넷 산업은
- 인프라를 구축하는 대기업
- 판매 담당 대리점
- 설치/보수 담당 대리점
이 수익을 배분하여 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은
- 인프라 유지, 증설
- 판촉
- 기술
이라는 가치를 더하며,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라는 가치를 창출합니다.
하지만 생명보험의 경우
- 홍보와 제품(계약내용) 담당하는 본사
- 계약을 얻어오는 영업사원
으로 이루어져 있고,
향후 제공할 수도 있는 서비스(제공안할 수도 있는)를 담보로,
지속적인 돈의 제공을 요구합니다.
이들은 가치를 창출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문서로 만들어진 계약을 가지고
- 본사는 돈을 모아서 일부만 계약에 따라 집행하며, 적당히 굴리고
- 영업사원은 소비자가 제공하는 돈의 일부를 받아갑니다.
이들이 결과적으로 제공하는 가치는 없습니다.
결과적인 가치만으로 따지면, 복권사업과도 다를 게 없습니다.
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B형태의 산업은 매우 한정적이어야 합니다.
-----------------------------------------------------------------------
경제위기가 오는 이유
A와 B는, 경제적인인 형태는 다르지만, 똑 같은 통화에 대해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A와 같은 경우, 필요에 의해 재화/용역이 제공되는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는 반면,
B의 경우, 계약서 한 장, 클릭 한 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화가 매우 쉽습니다.
우리의 경제위기는 B가 A보다 지나치게 규모가 커졌기 때문이며,
B가 A보다 커진 이유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가치에 대한 기대심리가 점점 커졌기 때문입니다.
/*부연설명 - 이러한 식의 기대심리는 주식/부동산/외환 등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계속 비싸지다 보니, 제 가격을 이미 넘어섰는데도 향후에 더 비싸질 것에 대한 기대심리로
가격이 본래의 가치를 넘어서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기대심리에 따라 돈이 이리저리 움직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많은 사람들이 "가만히 앉아서 모아놓은 돈으로 더 큰 돈을 벌 궁리"만 하기 때문입니다.
경제위기는 한번에 온 것이 아닙니다. 주식/부동산 등의 가격이, 본래의 가치를 넘어설 정도로 매겨지면서 패널티가 쌓여져 온 것입니다.
돈의 가치
돈의 가치는 같은 종이쪽지로, 얼마나 많은 재화/용역을 얻을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체 산업의 가치(대기노동력 + 재화의 재고 + 회사가치)
-------------------------------------------------------------
통화량(실제 돈의 양 + 숫자상의 돈(채권,예금,주식,상품권))
1. 급여자로 일을 한다는 것은, 대기노동력을 늘리고, 통화량의 일부를 내가 가져가는 것입니다.
2. 대출을 하면, 채권의 거래로 인해 통화량이 증가됩니다.
3. 예금을 하면, 은행에서 대출을 해 줄 기회가 발생하므로 결과적으로 통화량이 증가됩니다.
4. 정부에서 화폐를 더 찍어내면, 당연히 통화량이 증가됩니다.
5. 통화량이 증가되면 나의 급여의 가치가 줄어듭니다. 물론 모아놓은 돈의 가치도 줄어듭니다.
정리 : 깨어있는 경제의식
결과적으로 국가 전체에서 허수 경제인 B형태의 산업을 줄이고 A형태의 산업 비율을 늘려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B형태의 산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됩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실제 가치(A산업)을 철저히 늘리는 것만이 진정한 해답입니다.
<행동지침>
1. 현재 가지고 있는 주식을 모두 처분한다. -> 주식계의 큰손 붕괴
누군가는 오늘도 큰 손실을 보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잊지 말고,
도덕적인 양심으로 주식으로 수익을 얻을 기대를 하지 않고 다 판매한다.
이런 행동을 보여준다는 것은, 주식시장이 이론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이른바 큰손들에게 보여주는 기회도 됩니다.
그러면 함부로 주식시장이 큰손들에게 놀아나지도 않을 것입니다.
2. 현재 가지고 있는 예금/적금/보험을 해약한다. -> 은행/보험회사 붕괴
B산업의 근본, 불씨가 되는 역할은 결국 일반 소비자의 돈입니다.
예금/적금을 하지 말고, 차라리 현금으로 보유하세요.
통화량이 잘 늘어나지 않는 국가의 외환으로 보유해도 좋습니다.
보험은 최소한을 제외하고 해약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보험과 적금은 노예계약과 다름없습니다.
5%의 이자를 얻는 동안, 이미 돈은 5%이상 가치가 떨어지고 있습니다.
3. 되도록 카드 이용을 하지 않는다. -> 카드사 붕괴
카드란 원래의 의미는, 예상수익을 가지고 물건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의 착각으로 수익이 늘어난 것 처럼 소비를 하게 되지요.
이 와중에서 카드사만 수수료로 배를 불리고 있습니다.
포인트니 뭐니 그냥 생각하지 마시고, 좋은 나라를 만든다는 생각으로 카드를 사용하지 맙시다.
<추가사항>
B산업은 산업 자체를 점점 병들게 하는 마약과 같습니다.
정 하고 싶으시면 해외 경제의 것을 대상으로 하세요.
외환 예금/적금 드시고, 나스닥 주식 구입하세요.
20대건 50대건 간에, 국민 의식부터가 건전해져야 합니다.
앉아서 돈버는 것을 죄악으로 여기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그리고 어른들부터 솔선수범한다면, 우리 경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노예라는 것이 별것이 아닙니다.
눈꼽만한 수익에, 도덕에 대한 양심을 버리는 것,
위험한 것을 알면서도 계속해서 돈을 갖다주는 것.
그것이 경제적인 노예입니다.
도박과 다를 것이 무엇이 있습니까?
스스로 건전한 의식을 갖고, 건전한 경제를 만들고, 스스로의 자신감을 지키도록 합시다.
나쁜짓 하는 사람을 나쁘다고 하고,
나쁜짓 하는 회사에서는 억만금을 준다고 해도 취직하지 맙시다.
꼭 그럴 수 있는 자존심을 지킵시다.
출처 : 모르면배우는거다-[쉬운글]한국경제의 본질, 그리고 미래
글쓴이 : 사 ㄹㅏㅇ 해 원글보기
메모 :
'마이바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업실패를 막는 10가지 방법 (0) | 2009.03.24 |
---|---|
리더의 조건 (0) | 2009.03.14 |
[스크랩] 경찰서에 다녀왔습니다..저작권법 다시 체크하세요. (0) | 2009.02.28 |
[스크랩] 한반도에 집중된 기운 (0) | 2009.02.25 |
[스크랩] 소피마르소 29년 외모 변천사 (0) | 2009.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