腦力

속독법

kongbak 2008. 12. 15. 23:26

속독법 연습이미지;

 


지금까지의 독서는 어릴 때부터 익혀온 자연스런 말의 학습과정과 과학적 원리에 의해 체계화되지 않은 독서 교육의 영향으로 글자 한 자 한 자를 낱낱이 읽던 수동적(受動的)인 독서였다.


이러한 독서태도 때문에 독서 속도는 물론 문단(文段)이나 글자체의 중심 내용 파악에도 많은 지장(支障)이 있었다. 기존의 독서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과정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의 눈이 글자 한 자 한 자에 시점을 주면 우리의 두뇌는 그 글자의 발음기호를 먼저 상기하여 글자의 속발음(음독, 묵독)을 한 뒤 속발음의 자극이 뇌에 전달되면 그제서야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러한 단어를 연결하여 문장의 의미를 파악해 왔기 때문에 독서 속도가 느려짐은 물론 독해 능력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했다.



보통사람이 1분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의 글자수는 2,100자이다. 그러나 1분 동안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의 평균치는 2,100자이지만 실제 보통사람의 독서 속도를 검사하게 되면 1분 에 평균 200자∼800자 밖에 읽고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간의 최대독서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독서속도능력개발이 절실하다는 결론이다.



속독의 원리를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인간의 눈과 두뇌의 잠재능력 개발이다. 눈의 간상세포, 추상세 포 및 기타 기능을 개발하고 두뇌의 약 120억∼150억개에 달하는 세포 중 미개발 상태에 있는 뇌신경 세포에 자극을 주어 컴퓨터의 전자회로처럼 새로운 회로를 형성시킴으로써 활자를 한 자 두 자가 아닌 두 줄, 세 줄, 그 이상(여러 줄들을 한꺼번에)을 보고도 이해하면서 기억되도록 적용시킬 수 있다.


정신을 고도로 집중할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즉, 우리의 뇌파를 β(Beta)파 상태에서 α(Alpha)파 상태로 낮추어 글을 읽고 이해해야 한다. 속독은 정신집중의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정신집중이라는 것은 뇌파(腦波 : 57page참조)가 β(Beta) 파인 외부 의식수준에서 α(Alpha)파 상태인 내부 의식수준으로 된 상태를 말한다.


망막 후면의 시세포 중 황반부 주변에 있는 막대(rod)모양의 시세포인 간상세포(桿狀細胞)를 개발하여 동시에 많은 활자를 눈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황반부의 추상세포(錐狀細胞)를 개발하여 많은 활자를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눈으로 본 순간 뇌 에서 판독작용(判讀作用)이 일어나는 목독(目讀)이 되어야 한다.



뇌는 외배엽성신경관(外胚葉性神經管)에서 발생하며 중뇌(mid brain), 교뇌(pons), 소뇌(cerebellum), 간뇌(diencephalon), 대뇌반구(cerebral-hemisphere)로 구성된다. 그 중 대뇌반구(大腦半球)가 가장 크며 뇌 전체 무게의 약 80%를 차지한다. 대뇌반구는 대뇌종열(大腦縱裂)이라는 깊은 홈에 의해 좌반구, 우반구로 구분한다. 좌반구는 주로 이성, 분석력, 비판적 사고력을 담당하며 우반구는 도형, 인식, 직관, 감각, 창조력 등 을 담당하고 있다. 이 두 개의 뇌가 서로 조화롭게 활동함으로써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고 그것이 옳은가 테스트를 하는 것이다.


이 두 개의 반구에는 대단한 신경 묶음이 있고, 그것을 통해서 끊임없는 조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신경 묶음을 뇌량(腦梁)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창조력과 분석력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한다. 대뇌반구 표면에서 약 3mm까지의 부분은 회백질(灰白質)로 이루어져 이를 대뇌피질(Cerebral Cortex) 이라고 부른다.
여기에는 약 120억∼150억개의 신경세포가 함유(含有)되어 있다. 대뇌피질은 기능에 따라 운동령(Motor area 運動領), 체지각령(Somatosensory area 體知覺領), 시각령(Visual area 視覺領), 청각령(Auditory area 聽覺領), 미각령(Gustatory area 味覺領), 후각령(Olfactory area 嗅覺領), 연합령(聯合領) 으로 나눈다. 연합령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피질의 극히 좁은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특히 전두 엽(前頭葉)에는 기능이 분명치 않은 부분이 많다. 이들 부분은 고등 동물일수록 넓어지며 사람의 경우에 는 특히 발달이 현저하다.


지금까지 읽고 이해하던 방법이 아닌 눈에서 받아들인 활자의 자극을 뇌에서 순간적으로 과거 기억을 상기시켜 비교, 분석 후 이해하도록 이해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통 사람은 1/30초나 1/40초에 활자를 눈으로 받아들인다. 이 원리를 카메라와 비교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는 1/500초나 1/10,000초의 짧은 시간에 비쳐진 영상도 정확히 포착(捕捉)하여 필름에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시지각 능력과 뇌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카메라가 동일 거리에 있는 많은 사물을 지극히 짧은 시간에 포착(捕捉)하여 필름을 현상(現象)하는 것 같이 노력하게 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해 기억능력이 개발 육성된다. 특히 웹쉴러(Webschuler)교수는 '순간적인 자극에 두뇌 활동은 그만큼 빨리 작용한다'고 하였다. 즉 자극이 강하면 강할수록 인간의 두뇌는 민감한 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독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세포 중 아직 미개발상태의 시세포를 개발하여 순간적으로 많은 활자를 보게 되면 우리의 뇌는 웹쉴러 교수의 이론에서 밝힌 바대로 그만큼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해능력 개발 육성의 5단계까지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현재의 독서능력보다 약 20배∼1,000배 이상까지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다.



속독기본자세

평소 마음 가짐
항상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으십시요
나는 누구보다 마음이 넓다는 생각을 하고 그 생각을 실천하십시요
넓은 마음을 가져야 더욱 많은 것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속독훈련 시간
꾸준히 훈련 해주십시요 하루에 삼십분이라도 좋습니다 매일 훈련 해주세요
단, 일주일에 6일은 열심히 하되 7일째 되는 날은 무조건 쉬십시오
쉬는 동안 당신의 속독 능력은 더욱 향상 될 것입니다


다음은 속독을 공부하는 학생이 평소 지켜야 할 사항입니다
우리는 속독 공부를 통해 두뇌를 더욱 냉철하게 단련시키는 중입니다
그러므로 평소 두뇌를 멍하게 하지 마십시요 과식을 피해 주십시요
불규칙적인 생활은 피해 주십시요 또한 평소 집중력 떨어뜨리는 행동을 자제해 주십시요


속발음을 하게 되는 이유와 그 해결법입니다
(속발음이란? 글을 읽을 때 마음속으로 글을 발음하여 읽는 것을 말합입니다)



첫째 습관에 의한겁니다
특별히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없고 본인이 속발음을 줄이도록 노력 해야합니다



둘째 읽는 스피드를 두뇌가 따라가지 못해서 생겨 납니다
빠르게 읽다보니 무슨 내용인지 잘 인식하지 못해 입으로 또는 마음속으로

발음하여 잘 인식하려고 합니다. 읽는 스피드를 낮추십시오
또한 기초가 부실한 상태에서 그 다음 단계를 공부하지 않았나 생각해보십시요



셋째 속발음에 대해 잘못 이해 하셨습니다
속발음은 반드시 해서는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속발음을 통해 보다 깊은 이해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적당한 속발음은 속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명심합시다

동시에 속발음을 줄여나가려고 노력 하십시요



넷째 속발음 활용법을 익히십시요
처음부터 속발음을 없애는건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렇다면 속발음과 친해져서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글을 읽을 때 속발음을 안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자신도 들을 수 없을 정도의 소리 크기로 아주 빠르게 속발음을 하는 방법과
중요하다 싶은 단어 또는 문장만을 속발음하여 속발음이 내용 파악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중 한가지를 택하여 활용하십시요

이 방법들은 단점을 장점화 시키는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속독을 하였지만 기억에 남지 않는다?


첫번째 정리력 부족

기억 원리를 따지다 보면 한도 끝도 없으므로 간단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동전으로 탑쌓기를 해보겠습니다 동전을 삐뚫삐뚫쌓으면 얼마 못쌓고 금방 무너지지요?
그런데 동전을 바로 차곡차곡 쌓아올??상당히 높이 쌓을 수 있습니다
바로 이 차이점 속독을 하되 내용 정리를 하며 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각인력 부족

닭이라는 동물을 기억하는데 우리는 그 동물의 그 총체적인 형태를 기억해내며
총체적인 형태에 대한 느낌으로 영상을 재구성하여 재생합니다
이것은 기억과 회생에 대해 거의 원칙적인 법칙으로 통하고 있기도 합니다
각인에 대해 설명 드려야 겠지만 느낌을 언어로 표현해내는 것은 너무 어렵습니다
이것 만큼은 도무지 설명할 길이 없어 생략 하겠습니다


책장 넘기는 법
읽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페이지 오른쪽 가장 위에서 손가락을
다음 페이지에 넣어 글씨가 가리지 않도록 훑듯이 가장 아래로 내려서 넘깁니다
(여러분께서 직접 편한 방법을 생각해내서 하셔도 됩니다)


속독이론

1:속독은 독서기술이 아닌 두뇌활성화훈련입니다
2:속독은 글을 더 빨리 읽고 이해하는 독서방법을 말한다.
3:하지만 속독방법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4:70년대 한때 속독 붐이 일었을 때 속독은 무조건 책을 빨리 읽는 방식 이었다
5: 때문에 훑어읽기/요점읽기/대충읽기 등의 대략적인 이해의 속독방식이 나타났었다.
6:하지만 이러한 속독방법은 학습을 한다거나 정독을 하는데 있어서 효과가 별로 없기 때문에 시들해 졌다.
7:아직도 이러한 방식의 속독방법을 가르치는 학원들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8: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고 정독을 할 수 있는 속독훈련을 위해 정속독이 탄생하게 되었다.
9:정속독에서의 속독은 글을 더 빨리 읽고 더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10:훑어읽기/요점읽기/대충읽기 등의 대략적인 이해의 속독법을 피하고자 한다.


속독의 필요성

1:현대는 정보의 시대이다. 책과 인터넷으로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2:결국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책이든 인터넷이든 글을 통해 바라보아야 한다.
3:속독은 이제 단순히 책을 읽는 기술이 아니라, 학습과 정보를 빠르게 얻기 위한 특별한 능력이며 두뇌를 개발하는 훈련 이다.
4:성공의 경쟁은 정보와 시간의 싸움이다. 속독은 승리를 위한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능력이다.
5:속독능력을 갖춘 사람은 더 빠르게 앞서 나갈 수 있는 능력과 기회를 갖게 되는 것이다.
6:시험공부를 하는 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수험생/고시생부터 일반인까지 모두에게 가지면 좋은 능력이다.



속독능력은 누구나 가질 수 있는가?
1:속독은 선천적으로 가진 능력이 아닌, 훈련을 통해 개발되는 새로운 능력이다.
2:중요한 것은 대부분의 보통사람이 노력하면 훈련을 통해 가질 수 있는 능력 이라는 것이다.
3:하지만 속독을 하기 위해서는 글의 이해능력이 어느정도 되어야 하므로 초등학교 4~5학년 이상은 되어야 효과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일반인이 글 읽는 속도가 느린 이유
1:집중력 부족
2:소리내어 읽기/속발음
3:책을 입술이나 혀로 혹은 마음속으로 발음하면서 읽는 습관
4:결국 말하는 속도 이상으로 책을 보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5:눈으로 글줄을 읽는 것이 아니라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글을 읽는 습관.
6:고개를 움직여 보면 집중력도 떨어지고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다.
7:이해가 되지 않아 읽은 부분을 다시 읽는 습관.
8:이해력이 부족 할 수록 많이 나타난다.
9: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 나타나면 눈이 그 부분에 정지한 상태에서 생각하게 되는 습관.
10:안구속도가 느린경우
11:고개를 움직이지 않고 읽더라도 안구속독의 한계로 읽는 속도의 한계가 나타 난다. 



훈련을 통해 독서 방해 습관이 극복되는 과정
1:빠른 안구속도를 길러 빠른 속도로 글을 읽는 다기 보다는 보아 나가기 때문에 속발음으로 따라 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해 속발음 습관을 제거한다.
2:눈만 움직여 책을 보는 훈련을 하기 때문에 고개움직임은 당연히 사라진다.
3:리듬감 있는 훈련된 안구행동과 속도에 뇌가 반응해 이해력과 집중력이 높아져서 '돌아가 다시읽'/'정지해 읽기' 습관이 제거된다.
4:속독의 기본 훈련에 의해 일반인의 안구속도의 한계를 극복한다.


속독의 생리적 효과는

1:빨리 읽는다.
2:빠르고 명확히 이해한다.
3:우뇌를 활성화 시킨다.
4:일반 독서시에는 좌뇌를 주로 사용하지만 속독을 할 경우 좌/우뇌를 모두사용하게 된다(시각적인두뇌는 우뇌, 인지적인두뇌는 좌뇌)
5:머리회전이 빨라진다.(두뇌활성화)
6:읽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두뇌가 그 속도에 반응하고 적응하게 된다.
7:집중력을 길러준다.
8:안구훈련과 빠른 읽기와 이해를 훈련하는 과정에서 습득된다.
9:시력을 강화, 좋게 해 준다.
10:안구운동으로 눈의 근력이 단련/발달되어 시력이 개선된다.



독서 속도는?
1:일반인은 보통 분당 300~500자 정도 된다. 아무리 빨리 읽어도 이론적으로 최대 분당 3000자를 넘지 못한다.
2:책을 아무리 많이 읽고 이해력이 좋더라도 눈이 글을 볼 수 있는 속도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한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3:이러한 눈의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능력(빠른 안구이동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4:속독 훈련을 하면 보통 1분당7000자 에서 3~7만자 이상까지도 충분히 가능하다.
5:속독은 분당 5.000자(2급) 수준이면 효과적이다.(초등 2.100자 수준)



속독은 훈련을 통해야만 가능한가

1:속독하는 방법이나 원리를 알더라도 속독을 할 수는 없다.
2:속독은 철저히 훈련과 반복을 통해 몸에 배어야 하는 습관이다.
3:즉, 속독은 지식 기반의 능력이 아닌, 몸에 배어야 하는 습관이다.
4:속독도 마찬가지로 훈련에 의해서 눈과 두뇌에 새로운 행동습관이 만들어 져야 하는 것이다.



훈련기간과 효과의 관계

1:훈련 정도에 따라 보통 사람의 독서 속도보다 5~10배 이상까지도 가능하다.
2:2~3개월 정도 훈련하면 보통 3~4배 이상 빨라진다.
3:꾸준히 속독을 이상 생활화 하면 몸에 배어 자연스럽게 된다.
4:속독효과는 반복훈련으로 이루어 진다.



훈련의 원리

1:초집중력훈련과 기본안구 운동을 먼저 기른다. (응시법.이동법)
2:안구운동이 적응되기 전까지는 글 내용의 이해 훈련은 하지 않는다.
3:빠른 안구 운동의 읽는 속도를 따라 가려고 뇌가 적응하게 되어 이해력이 빨라진다.(정독을 위해 기초안구훈련이 중요하다)
4:개인별로 연습횟수, 적응 속도 등을 기록/ 분석해 가장 알맞은 방법과 훈련량 과 난이도를 제시해 주고 훈련할 수 있게 해준다.



속독훈련

1:하루에 30분~1시간 정도씩 이틀에 한 번 정도 하면 적당하다.
2:여유가 된다면 하루 1시간 정도씩 매일 하면 적응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속독은 훈련을 통해 몸에 습관이 배어야 하기 때문에 몰아서 하기 보다는 자주 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4:권장 훈련량 정도면 2~3개월 정도면 훈련전 보다 3~4배 이상 속도가 늘어 난다.
5:꾸준히 1년 이상 하면 몸에 완전히 배고 10배 이상의 속도도 가능하게 된다.
6:속독시 속해법과기억법도 활용한다


속독을 충분히 익히면..

1:글줄이 눈에 빨려 들어오는 현상이 나타난다.
2:빠르게 정확하게 이해된다.
3:머릿속에 글의 내용이 그려진다.



속독응용

1:모든 책을 속독으로만 읽는 것은 아니다.
2:이해도나 책의 특성에 따라 속독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정독으로 읽는다.
*일반 소설/교양서적 - (속독으로 읽는다.)
*전문서적-(초기에는 속도를 조금 떨어뜨려 속독으로 읽는다.)
(천천히 정독으로 읽어 이해 안가는 부분을 찾아 이해한다.)
(내용 파악이 되면 속독으로 읽는다.)
*시/시조- (정독으로 천천히 음미하며 읽는다.)



속독효과 !

1:영화를 볼 때 우리는 영화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보지 않지만 영화를 보는데 문제가 없다.
2:TV나 라디오에서 뉴스나 교양프로를 보거나 들을 때 쉼 없이 지나가지만 이해하는 데 문제가 없다.
3:즉, 사람의 두뇌는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4:하지만 책을 읽을 때는 멈춰서 생각한다거나, 읽은 부분을 다시 읽는다거나, 소리 내어 읊조리며 읽는다거나 도중에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5:이런 독서방해 습관들로 인해 책을 느리게 읽고, 이해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6:즉, 능력은 가지고 있지만 나쁜 습관들 때문에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7:속독은 나쁜 독서습관을 제거 시켜주고, 다른 능력을 키워주어 완전히 다른 독서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8:하루 하루 짜투리 시간을 투자해서, 당신의 삶에 새로운 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기회이다.
9:속독의 완성은 능력의 완성이 아니다.
10:새로운 능력/지식을 얻기 위한 기반이 되는 능력일 뿐이다.
11:속독을 잘 활용하면, 여러분은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회적 위치에 올라서게 될 것이다.
12:속독을 잘 활용하게 되면, 과거에 올라가지 못할 나무의 수가 줄어 들 것이다
13:과거나 현재의 사회적으로 성공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속독방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14:책을 많이 읽다 보니 나름대로의 방법을 터득하기도 하고, 속독을 배우기도 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