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음식문화의 특징을 한마디로 말하면 " 菜中有畵 , 畵中有話 , 話中有心, 心中有情
(요리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말이 있고, 말속에 마음이 있고, 마음 속에 정이 있다.)"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맛있는 중국요리
素菜土豆絲[su chao tu dou si]: 감자를 채썰어 볶은 것
尖椒土豆絲[jian jiao tu dou si] : 고추와 감자를 채썰어 볶은 것
尖椒肉絲[jian jiao rou si]: 고추와 고기를 채썰어 볶은 것
水果沙拉[shui guo sh la]: 과일 사라다
鍋巴鷄片[guo ba ji pian]: 누룽지를 튀겨 그 위에 해물소스를 뿌린것
炸化生[zha hua sheng]: 땅콩을 튀겨 소금,설탕에 묻힌 것
淸抄蝦仁[qing chao xia ren]: 새우 볶음 요리
鐵板蝦仁[tie ban xia ren]: 새우 철판 요리
軟炸蝦仁 ruan zha xia ren 새우 튀김
糖醋鯉魚 tang cu li yu 생선을 튀겨 그 위에 탕수육 소스를 뿌려먹는요리
馬蟻上樹 ma yi shang shu 당면과 소고기를 같이 볶아먹는 사천요리
宮保鷄丁 gong bao ji ding 닭고기와 오이 땅콩을 같이 볶은요리
魚香肉絲 yu xiang rou si 채썰은 돼지고기를 볶은 요리
京醬肉絲 jing jang rou si 채썰은 돼지고기를 짜장에 볶은 요리
鐵板牛肉 tie ban niu rou 철판에 쇠고기와 야채, 버터를 넣어 뜨겁게 해서 먹는 요리
松花蛋 song hua dan 계란지단에 여러 가지를 넣고 싸먹는 것
米飯 mi fan 쌀밥
鷄蛋炒飯 ji dan chao fan 계란 볶음밥
牛肉面 niu rou mian 쇠고기 국수
麻拉豆腐 ma la dou fu 순두부를 맵게 요리해 숟가락으로 떠먹는 요리
玉米羹 yu mi geng 옥수수와 달걀을 부드럽게 풀어 먹는 스프
拔絲 ba si(地瓜,平果) di gua, ping guo 맛탕 (고구마, 사과)
■ 시간별 식사 메뉴
▣아침
鷄蛋夾餠 지단지아삥, 계란샌드위치 가장 인기있는 메뉴이다 단돈1원 그 안에 계란후라이를 넣어서 먹는데 기호에 따라 각종 야채를 넣을 수 있다
땅콩으로 만든 두유와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다 동그랗게 구운 밀가루 빵을 화덕에 얹어놓아 기름기가 쭉 빠지고...
包子 빠오즈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만두 종류이다 싼 값에 배불리 먹을 수 있다 특히 팥죽이나 좁쌀죽을 곁들어 먹으면 하루를 든든하게 시작할 수 있다 안에 고기나 야채등이 들어있음
春卷兒 춘쥐엘 부추와 당면을 밀가루 피로 직사각형으로 말아서 튀긴 것인데 1원짜리 하나를 사도 양이 매우 많아 둘이 나눠먹어도 충분하다
튀긴 것이라 아침에 먹기는 약간 부담스럽지만 중국사람들은 아침에도 튀긴 밀가루빵같은 것을 먹기도 한다
饅頭 만터우 중국 북방 사람들이 즐겨먹는다는 속이 없는 만두이다
맛은 심심하지만 부답없이 배채우기에는 괜찮다
▣점심(면종류)
米線 미센, 쌀국수
미펀米粉 쌀국수 닭고기 국물에 쌀로 만든 국수를 삶아 주는 것인데 쫄깃쫄깃한 면발과 얼큰한 국물맛이 입맛에 잘 맞다 米線은 중국 운남성이 유명하다고 한다
刀削麵 따오샤오미엔 끓는 물에 밀가루 덩어리를 칼 비슷한 쇳조각으로 얇고 길게 저며 넣어서 만드는 중국식 수제비이다 위에 얹어놓은 닭고기 고명과 함께 먹으면 아주 맛있다
牛肉麵 니우로우미엔 소고기면 가장 보편적인 음식으로 국물이 담백하다
우동을 먹는 듯한 느낌이다
单单米面 딴단미엔 4~8元 고기 볶은것과 야채조금 , 조금 맵고 기름많음, 맛있음
西红柿鸡蛋面 시홍스지단미엔 3~6元 토마토계란면 제일 느끼하지 않은 면중의 하나
麵面片 후이미엔펜 회족식당에서 먹을 수 있는데 인기가 아주 좋다
한국의 수제비와 짬뽕국물을 합쳐놓은 듯한 맛이다 매일 먹어도 별로 질리지 않는다
炒拉條 차오라탸오 :중국식 스타게티같은 맛인데 회족 식당의 炒拉條가 麵面片과 함께 한국 유학생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玛依上述 마이샹수 5~11元 잡채 비스무리
▣저녁
京醬肉絲 징장로우쓰 길게 썰은 돼지고기와 파에 춘장으로 볶은 요리,
한국 짜장소스의 아련한 향수르 느낄 수 있다 인기도로 따지면 단연 1위
糖醋里脊 탕추리지 12元 한국에서 먹는 탕수육보다 훨씬 달고 새콤하다
이걸 계속 먹으면 한국 탕수육은 쳐다보지도 않는다는..
炒靑菜 차오칭차이 3元 청경채를 마늘 다진것과 소금간으로 볶은 것이다
대표적인 채소 요리이다
▣간식(点心), 야식
羊肉串 양로우촨 및 각종 꼬지들 대표적인 것이 바로 羊肉串이다 에 맥주 한잔을 더하면 그날 공부는 끝난다
水果 과일 중국은 과일호강하기에 정말 좋은 나라다 특히나 물가 싼 개봉에서는 과일값이 정말 싸다 귤 2원어치면 4명이 둘러앉아 수다떨며 먹기에 딱 좋다 그 외에 배, 사과, 포도, 바나나등 계절과일을 듬뿍 먹을 수 있다
瓜子 해바라기씨 처음 먹을땐 껍질 까는게 힘들지만 익숙해지면 국사람만큼 빨리 먹을 수 있다 너무 맛들리면 중독돼서 瓜子없이 하루도 못살게 될지도
糖葫蘆 탕후루 청나라를 배경으로 하는 무협영화에서도 糖葫蘆파는 상인을 종종 볼 수 있다 그 만큼 역사가 오래된 군것질거리이다 귤, 바나나, 산사자과일등 갖가지 과일을 꽂아서 설탕끊인물이 묻혀서 굳은 다음 먹는다
雪餠 슈에빙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수 있는 쌀과자이다 맥주 안주로 즐겨 찾는 과자이다
皮蛋 피단 쑹화단 이라고도 부르는데 소금물에 절인 오리알로 껍질이
연한 하늘색을 띄고 있어 달걀과 구별됩니다. 이거 먹는 방법 잘 알아야 중국음식에 길들여 집니다. 씩씩하게 피단을 시킨다음 껍질 까서 먹으면 짜기만 하니까 중국 방식대로 먹어야합니다. 오리알을 반으로 쪼갠다음 젓가락으로 속부터 파서 먹습니다. 져우 요우티아오 또는 떠우지앙의 반찬으로써 말입니다
■ 길거리에서 맛보는 중국요리
春捲 춘쥐엔 밀가루를 얇게민 다음 가늘게 썬 돼지 고기나 닭고기,
부추등으로 소를 만들어 넣고 둥그스름하게 빚어 기름에 튀긴 것
餃子 지아오즈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만두는 이 지아오즈 하고 제일 가깝습니다. 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지요. 중국 사람은 지아오즈로 절대 만두국 안해 먹습니다. 그리고 조리법에 따라 蒸餃(쩡지아오, 찐만두), 煎餃(찌엔지아오, 군만두), 水餃(수이지아오, 물만두)
水餃 수이지아오 중국식 물만두 3~6元
包子 빠오즈 빠오즈는 찐빵입니다. 단팥 찐방도 있고, 야채 찐빵,물론 고기찐빵도 있습니다. 크기도 우리나라 호빵만하지요. 하지만 속이 우리보다 훨 작아요 그걸 작게 만든것이 小籠包(쌰오롱빠오)입니다. 사실 우리나라 찐만두하고 가장 흡사한게 이겁니다
煎餠 찌엔삥 만토우饅頭 속이 없는 만두, 찐빵
混沌 훈뚠 면과 물만두를 함께 넣고 삶은 일종의 만두국,1~3元
豆醬 또우찌앙 콩국, 우리나라의 베지밀과 유사함
油條 요티아오 일종의 꼬이지 않은 꽈배기 2~3개/1元
燒餠 쌰오삥 밀가루를 반죽하여 표면에 참깨를 뿌려 구운 빵의 일종
綜子 쫑즈 단오절에 굴원을 기리며 찹쌀을 댓잎 또는 갈잎에 세모나게 싸서 찐 찹쌀떡 현재는 그 편리함에 자주 먹는 음식중의 하나이다
稀飯 씨판 죽
炸鷄 자아찌 튀긴닭
■중국인이 평상시 먹는 음식
粥 조우 한그릇에 1~2콰이)죽으로 흰죽 稀飯 씨판이라도 함
라빠조우(臘八粥: 여러 가지 종류의 쌀.콩.과일 등을 넣어 만든 죽)
油條 요티아오 2~3개 1콰이 밀가루를 막대 모양으로 기름에 튀긴 빵의 일종인데 모양은 안꼬인 꽈배기를 연상하시면 됩니다. 맛은 약간 짭잘하고 껍질은 바삭하며 속은 말랑 한 빵의 일종.
豆醬 또우찌앙 콩국, 우리나라의 베지밀과 유사함) 달콤하고 따뜻한 두유로
우리나라 베지밀에 설탕 3스푼 넣은 음식이라고 보면 됩니다 떠우지앙은 중국인들에게 무척 인기있는 식품으로 서안에는 전문음식점이 있을 정도 입니다
小荣包 샤올롱빠오 한판에 2~3콰이) 우리나라의 왕만두 모양과 맛을냅니다. 보통 한판에 6~7개의 샤올롱빠오가 나와서 한사람의 한끼식사로 충분. 우리나라에서처럼 간장에 찍어 먹기 보다는 채소볶음과 함께 먹으면 좋다.
牛肉面 니우로미엔 한그릇 4~6콰이)우육라면으로 란저우가 원산지나 중국중북부 어디에나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입니다. 수타한 면과 육수에 소고기 고명을 올려 준다 .
皮蛋 피단 2콰이?)쑹화단 이라고도 부르는데 소금물에 절인 오리알로 껍질이 연한 하늘색을 띄고 있어 닭걀과 구별됩니다. 이거 먹는 방법 잘 알아야 중국음식에 길들여 집니다. 씩씩하게 피단을 시킨다음 껍질 까서 먹으면 짜기만 하니까 중국 방식대로 먹어야합니다. 오리알을 반으로 쪼갠다음 젓가락으로 속부터 파서 먹습니다. 져우 요우티아오 또는 떠우지앙의 반찬으로써 말입니다.
淸菜 칭차이 한접시에 4~6콰이, 그러나 반접시도 팝니다) 중국인의 김치라고 해도 되며 청경채(배추의 일종)를 기름에 볶아 중국식 소스를 끼얹어 나온다. 짭잘하고 담백한 맛이다
米粉 미펀 한그릇 1.5~2콰이) 계림 지방의 대표적인 아침식사로 쌀국수입니다. 한국인의 입맛에 너무나 잘 어울리는 음식이라고 말 할 수있습니다. 한국의 시골 장터국수 맛 쯤. 먹거든요. 쌀가루로 만든
가늘고 납작한 국수를 말한다. 국물이 있는 국수가 아니라 볶은 국수이다.
千層餠 치엔청빙 호떡모양으로 쌀가루떡을 기름에 튀긴 빵종류로 산동이외의 지역에서는 별로 없다
알아두면 편리한 중국 야채 이름
도저히 입맛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한국에서 준비한 고추장에다 아래의 야채를 주문하면 만사 ok^__^.
♠오이 --황과(黃瓜) , ♠고추--라쟈오(辣椒) ♠상추--썽차이(生菜)
■ 한국 사람 입맛에 맞는 음식 (코스별)
● 량차이(凉菜) : 먼저 중국 음식은 량차이부터 시작한다. 량차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냉채라고 부르는 음식으로, 뜨거운 요리를 먹기 전 입맛을 돋우는 작용을 한다.
-샤오충빤도우푸(小蔥拌豆腐) :네모난 생 순두부에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하고 파를 잘게 썰어 얹은 요리이다. 시원하고 깔끔한 맛으로 한국 사람 입맛에 잘 맞는다. 여기서 빤(拌)은 ‘비빈다’는 뜻으로 잘게 썬 파와 두부를 비벼 먹으라고 방법을 말해 주고 있다. 예를 들면 빤바이차이하이따이쓰(拌白菜海帶絲)는 바이차이(白菜 : 배추)와 하이따이미역(海帶 : 줄거리)을 간장, 식초, 소금, 고추기름 등을 넣고 무친 것이다. 여기서 쓰(絲)는 실처럼 가늘게 썰은 모양을 말한다.
-짱니우로우(醬牛肉) :우리 음식 가운데 장조림과 비슷하다. 다만 얇게 저며 차게 먹는 것이 틀린 점이다. 이 밖에 추천할 만한 량차이로는 산랄황과(酸辣黃瓜, 쑤안라황꽈), 당초황과(糖醋黃瓜) 등이 있다. 둘 다 생오이 절임인데 앞의 것은 시고 매운 맛, 뒤의 것은 달고 신맛으로 무난히 먹을 수 있다. 산(酸)이나 초(醋) 자가 들어간 음식은 신맛이 난다. 보통 중국 식당이나 가정에서 쓰는 식초는 우리가 쓰는 하얀 식초와 다르다. 중국 식초는 간장과 빛깔이 비슷해 좀 검고 식초 특유의 톡 쏘는 맛 이외에 향이 있다. 처음에는 그 향이 싫을 수도 있으나, 익숙해지면 오히려 하얀 식초보다 더 좋아하게 될 수도 있다. 우리 나라에 시판되고 있는 무화과 식초와 향이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 수차이(熱菜 볶음 요리)
-위샹로우쓰(魚香肉絲) : 돼지고기를 실처럼 가늘게 썰어 죽순, 목이버섯, 잘게 썬 파, 생강 등 야채와 고추, 식초, 소금, 간장, 설탕 등을 넣고 볶다가 전분과 육수로 걸죽하게 마무리하는 요리이다. 짭짜름하고, 달고, 맵고, 약간 신맛이 나는 위샹(魚香)이라는 소스는 기억해 둘 만하다. 이 소스는 외국인이 가장 무리없이 적응할 수 있는 맛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차림표에서 ‘魚香’이라는 글자가 들어간 음식은 일단 안심하고 시켜도 좋을 것이다.
-징장로우쓰(京醬肉絲) : 얇게 썰은 고기와 파, 양념을 두부피에 싸 먹는 요리다. 양념의 맛이 자장맛과 비슷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한다. 하지만 황허 이남에서는 하는 집이 드물다는 게 흠.
-회이꾸어로우(回鍋肉) : 비계가 약간 있는 돼지고기를 마늘종, 마늘, 양파 등을 넣고 간장과 식초로 간을 하여 볶는 요리이다.
-탕추리지(糖醋里脊) : 우리나라 탕수육의 원조 요리다. 지역에 빠라 초의 양이 달라서 아주 시큼한 곳도 있다. 보편적으로 우리 입맛에 맞다.
-메이차이커우로우(梅菜拘肉) : 우거지 위에 돼지고기 삼겹살을 얹고 간장 등의 양념을 하여 찐 요리이다. 커우로우(拘肉)는 가늘게 저며 찐 요리를 말한다. 쓰촨 요리이다.
-꾸라오로우(古老肉) : 돼지고기에 밀가루 옷을 입혀 튀긴 다음 소스를 묻혀 살짝 볶은 음식이다.
-티애판니우로우(鐵板牛肉) : 쇠고기와 양파, 파, 마늘 등을 기름, 참기름, 간장, 후추, 조미용 황주, 전분 등으로 간을 해 철판에 올려 놓고 지글지글 볶은 요리이다. 뚝배기 효과가 있는 철판에 그대로 요리가 담겨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 음식은 돼지고기를 많이 쓰는데 이 요리는 쇠고기로 한다. 특히 쇠고기가 먹고 싶을 때 시키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마의쌍쑤(馬蟻上樹) : 쓰촨 요리로, 이 이름은 요리의 모양에서 따온 것이다. 쇠고기를 가루를 내어 먼저 볶은 다음 당면과 섞은 요리인데, 잘게 다져진 쇠고기가 당면에 붙어 있는 모습이 개미(馬蟻)가 나무(樹)에 올라가는(上)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쓰촨 요리는 매운 것이 특징인 만큼 이 요리도 약간 매콤한 맛이 있다. 당면의 쫄깃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먹어볼 만한 요리이다. 식초로 간을 하여 볶는다.
-꽁뽀우지띵(宮保鷄丁) : 외국 사람이 비교적 좋아하는 중국 요리 중의 하나로 역시 쓰촨 요리이다. 닭고기와 땅콩, 고추, 오이, 당근, 양파, 생강 등을 조미용 황주, 간장, 설탕, 식초로 맛을 내어 볶은 요리이다. 마지막 글자 ‘丁’은 손톱 크기로 썬 모양을 설명하고 있다. 계정(鷄丁) 요리로는 이 밖에도 라즈지띵(辣子鷄丁) 등이 있다. 이것은 고추와 닭고기를 꽁뽀우지띵과 같은 소스로 볶은 요리이다.
-싼베이지(三杯鷄) : 닭고기를 깍두기 정도 크기로 토막내어 질그릇에(자토와 모래를 섞어 만든 뚝배기) 간장, 백주, 각종 조미료를 섞은 물을 한 컵씩 같이 넣고 끓이는 대만 요리이다. 싼뻬이(三杯, 세 잔이라는 뜻)는 양념이 각각 한 컵씩 들어갔음을 의미한다.
-썅꾸여우차이(香姑油菜) : 향고는 표고버섯이고, 유채는 겉절이 배추와 비슷한 채소이다. 이 두 채소를 기름에 볶은 요리인데 표고버섯의 향과 유채의 부드러운 맛이 잘 어우러져 있다.
-후피졔쟈오(虎皮尖椒) : 푸른 고추를 모양 그대로 센 불에 볶은 요리이다. 고추를 볶았을 때 노르스름한 반점이 생기는데, 이것이 호랑이 가죽과 비슷하다고 해서 후피(虎皮)라는 이름이 붙었고, 뒤의 두 글자 ‘첨초’(尖椒)는 끝이 날카로운 고추의 모양을 설명한 것이다.
-마풔도우푸(麻婆豆腐) : 역시 쓰촨 요리이다. 간장, 고추장, 참기름, 마늘, 파, 생강 등을 기름에 볶다가 깍두기 모양으로 썬 두부를 넣고 마지막에 전분으로 걸죽하게 하는 요리이다.
-빠짠도우푸(八珍豆腐) : 질그릇에 새우, 해삼, 표고버섯, 마늘 등과 살짝 튀긴 두부를 넣고 간장으로 간을 하여 끓인 요리이다.
-칭차오시아런(淸炒蝦仁) : 칭차오(淸炒)는 기름에 깨끗하게 볶는 방법이다. 시아런(蝦仁)은 새우 살로 이 요리의 재료를 설명한다. 즉 이 요리는 새우 살을 기름에 볶은 요리이다.
-꾸어빠(鍋巴) : 꾸어빠는 우리 음식의 누룽지이다. 누룽지를 살짝 튀겨 삼선 소스를 위에다 부어 먹는 요리로,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소스가 잘 어우러져 아주 맛있다.
-홍샤오치에즈(紅燒茄子) : 가지를 중국식 고추장 같은 양념에 넣어서 볶은 요리다.
-둥하이띵띵산(東海頂頂鮮) : 풀은 계란 안에 새우, 해삼 등 갖가지 해산물을 넣고 찐 요리다. 산둥과 허베이 인근에서 먹을 수 있다.
-루미앤(鲁面):산동요리로 해물잡탕을 말한다
● 주식과 탕류
중국 음식에서 주식(밥, 국수, 만두 등)은 요리를 다 먹은 다음 마지막으로 먹는다. 밥과 반찬을 같이 먹는 우리의 습관과 다르다. 밥 먹는 습관에 충실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중국 요리만 먹으면 뭔가 허전함을 느낄 것이다. 이럴 때는 종업원에게 밥을 요리와 함께 달라고 얘기하면 된다. 그렇지만 밥을 먹느라고 맛있는 요리를 먹지 못하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 밥을 먹기 전에 먼저 국이나 수프를 마신다.
-지룽위미껑(鷄茸玉米羹) : 달걀을 부드럽게 푼 옥수수 수프이다. 보통 중국의 탕은 느끼한 경우가 많은데, 이 탕은 전혀 느끼하지 않고 옥수수의 고소한 맛이 국물과 함께 부드러운 맛을 내 우리 입맛에 맞는다. 이것을 마시면 전체 식사를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
-미펀(米粉) :쌀가루로 만든 가늘고 납작한 국수를 말한다. 국물이 있는 국수가 아니라 볶은 국수이다.
-빠쓰(拔絲) : 우리 나라 맛탕과 비슷하다. 바나나로 만들면 빠쓰샹쟈오(拔絲香蕉), 사과로 만들었으면 빠쓰핑귀(拔絲平果)이다.
●샤오츠(小吃): 중국은 아침을 많이 먹지 않는다. 보통은 집밖에서 작은 간식들을 사다가 먹는다. 또 밖에서 먹을 경우 간단한 먹거리들을 사다가 해결하기도 하는데 여행자들에게는 아주 유용하다.
-샤오롱빠오(小籠包): 상하이가 본고장인 작은 만두. 지금은 어느 도시의 간이 식당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우리의 입맛에도 맞는 편이다.
-다오샤오미엔(刀削面): 국수의 일종으로 생각하고 먹으면 된다. 안에 소고기 등을 넣어먹을 수도 있다.
-라미엔(拉面) : 깐수성 란저우(蘭州)의 라면이 유명한데, 각 지역에는 특색적인 라미엔이 있다. 우리의 국수와 비슷한데, 약간 매운 맛이 들어갔다고 보면 된다. 안에 고기를 넣으면 니우로우라미엔(牛肉拉面)이다.
-지엔빙(煎餠) : 계란 부친 것에 야채와 고기 등 갖가지를 넣어서 먹는 음식으로 아침 식사 대용으로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이다. 어느 지역에서나 쉽게 먹을 수 있다.
-양로우추알(羊肉串) : 양고기 꼬치다. 밤 거리에서 주로 파는 데, 맥주와 더불어 먹기에 안성 맞춤이다. 소 힘줄을 구은 ‘빤진’이나 양갈비인 ‘양파이’, 서대 같은 물고기를 구은 ‘위’, 근육이 들어간 ‘로진’ 등 골고루 시켜서 먹는 것도 재밌다.
冷菜이라고 하는 차가운 음식....
1. 蔥油海哲(비슷하게 생긴 해파리:철) - 새콤달콤한 해파리 무침
2. 松花皮蛋- 피단아세요? 검은색의 계란인데요. 중국의 특산품이라고도 할 수 있지요. 영양이 많다고 하는데, 짱은 좋아합니다. 피단을(썩인 계란) 참기름을 두르고 연두부와 같이 나오지요.. ^^
3. 凉拌黃瓜 - 오이 무침
4. 油花生 - 땅콩 볶음
등이 있습니다.
* 熱菜 - 家常炒菜라고도 부른답니다.
1. 漁香肉絲는 당연 빠지지 않겠지요.
2. 宮保鷄丁- 면요리에도 나왔지만 닭을 깍뚝썰기로 썰어 땅콩과 야채를 넣어 매콤하게 한 요리
3. 糖醋排條 - 앞의 두글자 탕초라는 글자는 우리나라 탕수육의 맛을 낸다는 의미입니다. 돼지고기를 길게 썰어 달콤하고 시큼하게 한 요리
4. 椒鹽排條 - 초염이란 글자는 후추와 소금... 짭잘한 돼지고기 튀김입니다.
5. 麻油腰花 - 마유는 참기름 & 요화는 고기 중에서도 우리가 알고 있는 퍽퍽한 살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부담없이 먹기 편합니다.
6. 脆皮豆腐 - 연두부를 얇게 옷을 입혀 튀긴후 소스를 그위에 살짝..음~~~
7. 番茄炒蛋 - 앞에서 언급한!!! 토마토와 계란 볶음.
8. 漁香茄子 - 가지를 간장을 주되게 양념한 음식... 맛있어요.
9. 尖椒肉絲 - 고추와 돼지고기 채를 볶은 음식
10. 靑椒土豆絲 - 피망과 감자를 채로 썰어 볶음 음식
11. 麻辣豆腐 - 우리나라의 마라두부보다 맛나요... 빨간 기름위에 연두부와 땅콩, 고기가 올라가 있음
12. 香姑菜心 -표고버섯과 양배추를 볶음 음식
13. 蒜香空心菜 - 혹! 속이 비어있는 야채를 먹어보신적이 있으신지요? 속이빈 야채를 마늘을 넣어 볶은 음식
14. 雪菜~~ - 앞에 이글자가 들어가면요. 우리나라 짭잘한 우거지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우거지를 넣어 만든 ~~음식.
15. 撥絲地瓜 - 고구마에 설탕물, 엿, 꿀등을 부어 만든 요리
* 국물음식 - 湯例
1. 牛肉粉絲湯 - 가장 일반적으로 좋아하시는 탕... 소고기와 당면으로 만든 탕
2. 油豆腐粉絲靑菜湯 - 유부와 당면, 야채가 들어간 탕
3. 甛奬 - 이곳에서의 달짝지근한 콩국물... 많은 중국인이 이 콩국물과 튀김을 아침으로 먹죠
4. 咸奬- 짭잘한 맛의 연두부탕 - 이것 역시 중국인들이 아침에 많이 먹고 있음.= 豆花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쫌다름)
5. 醋辣湯- 시큰, 매콤한 이상한 탕- 시험삼아 드셔보실래요? ^^
6. 金針排骨湯 - 팽이버섯과 돼지 갈비의 만남... 갈비탕과 비슷!
7. 豆芽- 콩나물이나 숙주가들어간 " (중국에서는 콩나물과 숙주를 모두 '두아'라고 하는데요. 검은 콩~, 노란콩~으로 나눈답니다.
8. 冬瓜蛤蜊湯 - 동과는 우리나라 큰 푸른 호박인데요. 이것을 먹으면 더위를 덜탄다고 하네요. 맛은 무와 흡사! 허리는 조개랍니다. 국물이 시원한 탕
9. 番茄蛋湯 - 토마토와 계란의 또다른 조화... 탕!!!
10. 靑菜番茄豆腐花湯 - 야채& 토마토 & 연두부로 만든 탕- 새콤
11. 紅燒牛肉湯 - 불고기 비슷한 양념한 소고기를 물속에 퐁당
12. 炸菜肉絲湯 - 자차이는 이곳의 짠지입니다. 짠지와 돼지고기 채를 볶아 탕으로 만든것...
13. 雪菜肉絲湯 - 위에서 이야기한 우거지에 고기를 볶아서 물을 넣어 끓인 탕
14. 貢丸湯 - 동글한 오뎅이 들어가 있는 탕 - 漁丸湯... 비슷
1. 매콤한 辣肉面
2. 일반적인 牛肉面- (香菜라는 샹차이가 들어가야 일품!!-허나 한국에는 없는 맛이므로 첨에 먹기는 힘이 듭니다.)
3. 돼지간과 피망이 들어간 猪肝面
4. 돈까스가 올라간 大排面
5. 울 나라 불고기 양념을 따라한 고기 볶음이 올라간 紅燒肉面
6. 매콤한 돼지고기채 볶음의 魚香肉絲面(가장 입맛에 맞을듯!!)
7. 돼지고기 곱창이 들어간 大腸面 (비린내 조심)
8. 이름만 같고 맛은 틀린 炸醬面(대만 음식점의 짜장면은 괜찮아요)
* 덮밥으로는(.....飯으로 끝나는 메뉴)
1. 大排飯
2. 靑椒肉絲飯 - 피망과 돼지고기채가 볶아서 나옴
3. 宮爆鷄丁飯 - 닭고기를 깍뚝썰기로 썰어 매콤하게 양념하여 볶은것
4. 番茄炒蛋飯 - 토마토와 계란의 조화~~
5. 紅燒肉飯
6. 麻辣豆腐飯 - 두부를 매콤하게 역시 볶아 올린 밥
7. 楊州炒飯 - 가장 일반적인 볶음밥 (햄+야채...)
8. 蛋炒飯 - 계란볶음밥
9. 魚香肉絲飯
@ 水餃子 - 물만두는 뭐니 뭐니해도 북방이 알아준답니다.
1. (海)三鮮水餃 - 약간의 돼지고기와 새우등의 해산물을 넣어 만든 담백한 만두 (가격이 가장 비싸며, 맛있어요= 절때 돼지고기 냄새가 나지 않는답니다.)
2. 靑椒猪肉水餃 - 파란 피망과 돼지고기의 조화
3. 牛肉大蔥水餃 - 소고기와 파를 잘게 썰어서~~~
4. 白菜猪肉水餃 - 배추와 돼지고기로 만든 만두
5. 小籠包 - 중간에 색다른것! 水餃는 물에 넣어 삶은 것이 지만 샤오롱바오즈는 소쿠리에 놓고 찜으로 찌는것, 얇은 피속에 살코기가 한덩어리~ 드실때 속에서 흘러나오는 뜨거운물을 조심하세요 ' 상해의 특찬중 하나'
6. 西紅枾素菜水餃 - 토마토와 계란으로만 만든 야채 만두(맛있어요^^)
7. (부추:구)菜猪肉水餃- 부추와 돼지고기
8. (부추:구)菜素(소:함)水餃- 위의 만두에서 돼지고기만 빼고 계란이 들어간 담백한 만두.
9. 香(버섯:고)(소:함)水餃 - 컴에 없는 글자가 많네요..쩝 표고버섯이 주로 이루어이루어진 야채로 속이 채워진 만두
(요리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말이 있고, 말속에 마음이 있고, 마음 속에 정이 있다.)"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맛있는 중국요리
素菜土豆絲[su chao tu dou si]: 감자를 채썰어 볶은 것
尖椒土豆絲[jian jiao tu dou si] : 고추와 감자를 채썰어 볶은 것
尖椒肉絲[jian jiao rou si]: 고추와 고기를 채썰어 볶은 것
水果沙拉[shui guo sh la]: 과일 사라다
鍋巴鷄片[guo ba ji pian]: 누룽지를 튀겨 그 위에 해물소스를 뿌린것
炸化生[zha hua sheng]: 땅콩을 튀겨 소금,설탕에 묻힌 것
淸抄蝦仁[qing chao xia ren]: 새우 볶음 요리
鐵板蝦仁[tie ban xia ren]: 새우 철판 요리
軟炸蝦仁 ruan zha xia ren 새우 튀김
糖醋鯉魚 tang cu li yu 생선을 튀겨 그 위에 탕수육 소스를 뿌려먹는요리
馬蟻上樹 ma yi shang shu 당면과 소고기를 같이 볶아먹는 사천요리
宮保鷄丁 gong bao ji ding 닭고기와 오이 땅콩을 같이 볶은요리
魚香肉絲 yu xiang rou si 채썰은 돼지고기를 볶은 요리
京醬肉絲 jing jang rou si 채썰은 돼지고기를 짜장에 볶은 요리
鐵板牛肉 tie ban niu rou 철판에 쇠고기와 야채, 버터를 넣어 뜨겁게 해서 먹는 요리
松花蛋 song hua dan 계란지단에 여러 가지를 넣고 싸먹는 것
米飯 mi fan 쌀밥
鷄蛋炒飯 ji dan chao fan 계란 볶음밥
牛肉面 niu rou mian 쇠고기 국수
麻拉豆腐 ma la dou fu 순두부를 맵게 요리해 숟가락으로 떠먹는 요리
玉米羹 yu mi geng 옥수수와 달걀을 부드럽게 풀어 먹는 스프
拔絲 ba si(地瓜,平果) di gua, ping guo 맛탕 (고구마, 사과)
■ 시간별 식사 메뉴
▣아침
鷄蛋夾餠 지단지아삥, 계란샌드위치 가장 인기있는 메뉴이다 단돈1원 그 안에 계란후라이를 넣어서 먹는데 기호에 따라 각종 야채를 넣을 수 있다
땅콩으로 만든 두유와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다 동그랗게 구운 밀가루 빵을 화덕에 얹어놓아 기름기가 쭉 빠지고...
包子 빠오즈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만두 종류이다 싼 값에 배불리 먹을 수 있다 특히 팥죽이나 좁쌀죽을 곁들어 먹으면 하루를 든든하게 시작할 수 있다 안에 고기나 야채등이 들어있음
春卷兒 춘쥐엘 부추와 당면을 밀가루 피로 직사각형으로 말아서 튀긴 것인데 1원짜리 하나를 사도 양이 매우 많아 둘이 나눠먹어도 충분하다
튀긴 것이라 아침에 먹기는 약간 부담스럽지만 중국사람들은 아침에도 튀긴 밀가루빵같은 것을 먹기도 한다
饅頭 만터우 중국 북방 사람들이 즐겨먹는다는 속이 없는 만두이다
맛은 심심하지만 부답없이 배채우기에는 괜찮다
▣점심(면종류)
米線 미센, 쌀국수
미펀米粉 쌀국수 닭고기 국물에 쌀로 만든 국수를 삶아 주는 것인데 쫄깃쫄깃한 면발과 얼큰한 국물맛이 입맛에 잘 맞다 米線은 중국 운남성이 유명하다고 한다
刀削麵 따오샤오미엔 끓는 물에 밀가루 덩어리를 칼 비슷한 쇳조각으로 얇고 길게 저며 넣어서 만드는 중국식 수제비이다 위에 얹어놓은 닭고기 고명과 함께 먹으면 아주 맛있다
牛肉麵 니우로우미엔 소고기면 가장 보편적인 음식으로 국물이 담백하다
우동을 먹는 듯한 느낌이다
单单米面 딴단미엔 4~8元 고기 볶은것과 야채조금 , 조금 맵고 기름많음, 맛있음
西红柿鸡蛋面 시홍스지단미엔 3~6元 토마토계란면 제일 느끼하지 않은 면중의 하나
麵面片 후이미엔펜 회족식당에서 먹을 수 있는데 인기가 아주 좋다
한국의 수제비와 짬뽕국물을 합쳐놓은 듯한 맛이다 매일 먹어도 별로 질리지 않는다
炒拉條 차오라탸오 :중국식 스타게티같은 맛인데 회족 식당의 炒拉條가 麵面片과 함께 한국 유학생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玛依上述 마이샹수 5~11元 잡채 비스무리
▣저녁
京醬肉絲 징장로우쓰 길게 썰은 돼지고기와 파에 춘장으로 볶은 요리,
한국 짜장소스의 아련한 향수르 느낄 수 있다 인기도로 따지면 단연 1위
糖醋里脊 탕추리지 12元 한국에서 먹는 탕수육보다 훨씬 달고 새콤하다
이걸 계속 먹으면 한국 탕수육은 쳐다보지도 않는다는..
炒靑菜 차오칭차이 3元 청경채를 마늘 다진것과 소금간으로 볶은 것이다
대표적인 채소 요리이다
▣간식(点心), 야식
羊肉串 양로우촨 및 각종 꼬지들 대표적인 것이 바로 羊肉串이다 에 맥주 한잔을 더하면 그날 공부는 끝난다
水果 과일 중국은 과일호강하기에 정말 좋은 나라다 특히나 물가 싼 개봉에서는 과일값이 정말 싸다 귤 2원어치면 4명이 둘러앉아 수다떨며 먹기에 딱 좋다 그 외에 배, 사과, 포도, 바나나등 계절과일을 듬뿍 먹을 수 있다
瓜子 해바라기씨 처음 먹을땐 껍질 까는게 힘들지만 익숙해지면 국사람만큼 빨리 먹을 수 있다 너무 맛들리면 중독돼서 瓜子없이 하루도 못살게 될지도
糖葫蘆 탕후루 청나라를 배경으로 하는 무협영화에서도 糖葫蘆파는 상인을 종종 볼 수 있다 그 만큼 역사가 오래된 군것질거리이다 귤, 바나나, 산사자과일등 갖가지 과일을 꽂아서 설탕끊인물이 묻혀서 굳은 다음 먹는다
雪餠 슈에빙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수 있는 쌀과자이다 맥주 안주로 즐겨 찾는 과자이다
皮蛋 피단 쑹화단 이라고도 부르는데 소금물에 절인 오리알로 껍질이
연한 하늘색을 띄고 있어 달걀과 구별됩니다. 이거 먹는 방법 잘 알아야 중국음식에 길들여 집니다. 씩씩하게 피단을 시킨다음 껍질 까서 먹으면 짜기만 하니까 중국 방식대로 먹어야합니다. 오리알을 반으로 쪼갠다음 젓가락으로 속부터 파서 먹습니다. 져우 요우티아오 또는 떠우지앙의 반찬으로써 말입니다
■ 길거리에서 맛보는 중국요리
春捲 춘쥐엔 밀가루를 얇게민 다음 가늘게 썬 돼지 고기나 닭고기,
부추등으로 소를 만들어 넣고 둥그스름하게 빚어 기름에 튀긴 것
餃子 지아오즈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만두는 이 지아오즈 하고 제일 가깝습니다. 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지요. 중국 사람은 지아오즈로 절대 만두국 안해 먹습니다. 그리고 조리법에 따라 蒸餃(쩡지아오, 찐만두), 煎餃(찌엔지아오, 군만두), 水餃(수이지아오, 물만두)
水餃 수이지아오 중국식 물만두 3~6元
包子 빠오즈 빠오즈는 찐빵입니다. 단팥 찐방도 있고, 야채 찐빵,물론 고기찐빵도 있습니다. 크기도 우리나라 호빵만하지요. 하지만 속이 우리보다 훨 작아요 그걸 작게 만든것이 小籠包(쌰오롱빠오)입니다. 사실 우리나라 찐만두하고 가장 흡사한게 이겁니다
煎餠 찌엔삥 만토우饅頭 속이 없는 만두, 찐빵
混沌 훈뚠 면과 물만두를 함께 넣고 삶은 일종의 만두국,1~3元
豆醬 또우찌앙 콩국, 우리나라의 베지밀과 유사함
油條 요티아오 일종의 꼬이지 않은 꽈배기 2~3개/1元
燒餠 쌰오삥 밀가루를 반죽하여 표면에 참깨를 뿌려 구운 빵의 일종
綜子 쫑즈 단오절에 굴원을 기리며 찹쌀을 댓잎 또는 갈잎에 세모나게 싸서 찐 찹쌀떡 현재는 그 편리함에 자주 먹는 음식중의 하나이다
稀飯 씨판 죽
炸鷄 자아찌 튀긴닭
■중국인이 평상시 먹는 음식
粥 조우 한그릇에 1~2콰이)죽으로 흰죽 稀飯 씨판이라도 함
라빠조우(臘八粥: 여러 가지 종류의 쌀.콩.과일 등을 넣어 만든 죽)
油條 요티아오 2~3개 1콰이 밀가루를 막대 모양으로 기름에 튀긴 빵의 일종인데 모양은 안꼬인 꽈배기를 연상하시면 됩니다. 맛은 약간 짭잘하고 껍질은 바삭하며 속은 말랑 한 빵의 일종.
豆醬 또우찌앙 콩국, 우리나라의 베지밀과 유사함) 달콤하고 따뜻한 두유로
우리나라 베지밀에 설탕 3스푼 넣은 음식이라고 보면 됩니다 떠우지앙은 중국인들에게 무척 인기있는 식품으로 서안에는 전문음식점이 있을 정도 입니다
小荣包 샤올롱빠오 한판에 2~3콰이) 우리나라의 왕만두 모양과 맛을냅니다. 보통 한판에 6~7개의 샤올롱빠오가 나와서 한사람의 한끼식사로 충분. 우리나라에서처럼 간장에 찍어 먹기 보다는 채소볶음과 함께 먹으면 좋다.
牛肉面 니우로미엔 한그릇 4~6콰이)우육라면으로 란저우가 원산지나 중국중북부 어디에나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입니다. 수타한 면과 육수에 소고기 고명을 올려 준다 .
皮蛋 피단 2콰이?)쑹화단 이라고도 부르는데 소금물에 절인 오리알로 껍질이 연한 하늘색을 띄고 있어 닭걀과 구별됩니다. 이거 먹는 방법 잘 알아야 중국음식에 길들여 집니다. 씩씩하게 피단을 시킨다음 껍질 까서 먹으면 짜기만 하니까 중국 방식대로 먹어야합니다. 오리알을 반으로 쪼갠다음 젓가락으로 속부터 파서 먹습니다. 져우 요우티아오 또는 떠우지앙의 반찬으로써 말입니다.
淸菜 칭차이 한접시에 4~6콰이, 그러나 반접시도 팝니다) 중국인의 김치라고 해도 되며 청경채(배추의 일종)를 기름에 볶아 중국식 소스를 끼얹어 나온다. 짭잘하고 담백한 맛이다
米粉 미펀 한그릇 1.5~2콰이) 계림 지방의 대표적인 아침식사로 쌀국수입니다. 한국인의 입맛에 너무나 잘 어울리는 음식이라고 말 할 수있습니다. 한국의 시골 장터국수 맛 쯤. 먹거든요. 쌀가루로 만든
가늘고 납작한 국수를 말한다. 국물이 있는 국수가 아니라 볶은 국수이다.
千層餠 치엔청빙 호떡모양으로 쌀가루떡을 기름에 튀긴 빵종류로 산동이외의 지역에서는 별로 없다
알아두면 편리한 중국 야채 이름
도저히 입맛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한국에서 준비한 고추장에다 아래의 야채를 주문하면 만사 ok^__^.
♠오이 --황과(黃瓜) , ♠고추--라쟈오(辣椒) ♠상추--썽차이(生菜)
■ 한국 사람 입맛에 맞는 음식 (코스별)
● 량차이(凉菜) : 먼저 중국 음식은 량차이부터 시작한다. 량차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냉채라고 부르는 음식으로, 뜨거운 요리를 먹기 전 입맛을 돋우는 작용을 한다.
-샤오충빤도우푸(小蔥拌豆腐) :네모난 생 순두부에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하고 파를 잘게 썰어 얹은 요리이다. 시원하고 깔끔한 맛으로 한국 사람 입맛에 잘 맞는다. 여기서 빤(拌)은 ‘비빈다’는 뜻으로 잘게 썬 파와 두부를 비벼 먹으라고 방법을 말해 주고 있다. 예를 들면 빤바이차이하이따이쓰(拌白菜海帶絲)는 바이차이(白菜 : 배추)와 하이따이미역(海帶 : 줄거리)을 간장, 식초, 소금, 고추기름 등을 넣고 무친 것이다. 여기서 쓰(絲)는 실처럼 가늘게 썰은 모양을 말한다.
-짱니우로우(醬牛肉) :우리 음식 가운데 장조림과 비슷하다. 다만 얇게 저며 차게 먹는 것이 틀린 점이다. 이 밖에 추천할 만한 량차이로는 산랄황과(酸辣黃瓜, 쑤안라황꽈), 당초황과(糖醋黃瓜) 등이 있다. 둘 다 생오이 절임인데 앞의 것은 시고 매운 맛, 뒤의 것은 달고 신맛으로 무난히 먹을 수 있다. 산(酸)이나 초(醋) 자가 들어간 음식은 신맛이 난다. 보통 중국 식당이나 가정에서 쓰는 식초는 우리가 쓰는 하얀 식초와 다르다. 중국 식초는 간장과 빛깔이 비슷해 좀 검고 식초 특유의 톡 쏘는 맛 이외에 향이 있다. 처음에는 그 향이 싫을 수도 있으나, 익숙해지면 오히려 하얀 식초보다 더 좋아하게 될 수도 있다. 우리 나라에 시판되고 있는 무화과 식초와 향이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 수차이(熱菜 볶음 요리)
-위샹로우쓰(魚香肉絲) : 돼지고기를 실처럼 가늘게 썰어 죽순, 목이버섯, 잘게 썬 파, 생강 등 야채와 고추, 식초, 소금, 간장, 설탕 등을 넣고 볶다가 전분과 육수로 걸죽하게 마무리하는 요리이다. 짭짜름하고, 달고, 맵고, 약간 신맛이 나는 위샹(魚香)이라는 소스는 기억해 둘 만하다. 이 소스는 외국인이 가장 무리없이 적응할 수 있는 맛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차림표에서 ‘魚香’이라는 글자가 들어간 음식은 일단 안심하고 시켜도 좋을 것이다.
-징장로우쓰(京醬肉絲) : 얇게 썰은 고기와 파, 양념을 두부피에 싸 먹는 요리다. 양념의 맛이 자장맛과 비슷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한다. 하지만 황허 이남에서는 하는 집이 드물다는 게 흠.
-회이꾸어로우(回鍋肉) : 비계가 약간 있는 돼지고기를 마늘종, 마늘, 양파 등을 넣고 간장과 식초로 간을 하여 볶는 요리이다.
-탕추리지(糖醋里脊) : 우리나라 탕수육의 원조 요리다. 지역에 빠라 초의 양이 달라서 아주 시큼한 곳도 있다. 보편적으로 우리 입맛에 맞다.
-메이차이커우로우(梅菜拘肉) : 우거지 위에 돼지고기 삼겹살을 얹고 간장 등의 양념을 하여 찐 요리이다. 커우로우(拘肉)는 가늘게 저며 찐 요리를 말한다. 쓰촨 요리이다.
-꾸라오로우(古老肉) : 돼지고기에 밀가루 옷을 입혀 튀긴 다음 소스를 묻혀 살짝 볶은 음식이다.
-티애판니우로우(鐵板牛肉) : 쇠고기와 양파, 파, 마늘 등을 기름, 참기름, 간장, 후추, 조미용 황주, 전분 등으로 간을 해 철판에 올려 놓고 지글지글 볶은 요리이다. 뚝배기 효과가 있는 철판에 그대로 요리가 담겨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 음식은 돼지고기를 많이 쓰는데 이 요리는 쇠고기로 한다. 특히 쇠고기가 먹고 싶을 때 시키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마의쌍쑤(馬蟻上樹) : 쓰촨 요리로, 이 이름은 요리의 모양에서 따온 것이다. 쇠고기를 가루를 내어 먼저 볶은 다음 당면과 섞은 요리인데, 잘게 다져진 쇠고기가 당면에 붙어 있는 모습이 개미(馬蟻)가 나무(樹)에 올라가는(上)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쓰촨 요리는 매운 것이 특징인 만큼 이 요리도 약간 매콤한 맛이 있다. 당면의 쫄깃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먹어볼 만한 요리이다. 식초로 간을 하여 볶는다.
-꽁뽀우지띵(宮保鷄丁) : 외국 사람이 비교적 좋아하는 중국 요리 중의 하나로 역시 쓰촨 요리이다. 닭고기와 땅콩, 고추, 오이, 당근, 양파, 생강 등을 조미용 황주, 간장, 설탕, 식초로 맛을 내어 볶은 요리이다. 마지막 글자 ‘丁’은 손톱 크기로 썬 모양을 설명하고 있다. 계정(鷄丁) 요리로는 이 밖에도 라즈지띵(辣子鷄丁) 등이 있다. 이것은 고추와 닭고기를 꽁뽀우지띵과 같은 소스로 볶은 요리이다.
-싼베이지(三杯鷄) : 닭고기를 깍두기 정도 크기로 토막내어 질그릇에(자토와 모래를 섞어 만든 뚝배기) 간장, 백주, 각종 조미료를 섞은 물을 한 컵씩 같이 넣고 끓이는 대만 요리이다. 싼뻬이(三杯, 세 잔이라는 뜻)는 양념이 각각 한 컵씩 들어갔음을 의미한다.
-썅꾸여우차이(香姑油菜) : 향고는 표고버섯이고, 유채는 겉절이 배추와 비슷한 채소이다. 이 두 채소를 기름에 볶은 요리인데 표고버섯의 향과 유채의 부드러운 맛이 잘 어우러져 있다.
-후피졔쟈오(虎皮尖椒) : 푸른 고추를 모양 그대로 센 불에 볶은 요리이다. 고추를 볶았을 때 노르스름한 반점이 생기는데, 이것이 호랑이 가죽과 비슷하다고 해서 후피(虎皮)라는 이름이 붙었고, 뒤의 두 글자 ‘첨초’(尖椒)는 끝이 날카로운 고추의 모양을 설명한 것이다.
-마풔도우푸(麻婆豆腐) : 역시 쓰촨 요리이다. 간장, 고추장, 참기름, 마늘, 파, 생강 등을 기름에 볶다가 깍두기 모양으로 썬 두부를 넣고 마지막에 전분으로 걸죽하게 하는 요리이다.
-빠짠도우푸(八珍豆腐) : 질그릇에 새우, 해삼, 표고버섯, 마늘 등과 살짝 튀긴 두부를 넣고 간장으로 간을 하여 끓인 요리이다.
-칭차오시아런(淸炒蝦仁) : 칭차오(淸炒)는 기름에 깨끗하게 볶는 방법이다. 시아런(蝦仁)은 새우 살로 이 요리의 재료를 설명한다. 즉 이 요리는 새우 살을 기름에 볶은 요리이다.
-꾸어빠(鍋巴) : 꾸어빠는 우리 음식의 누룽지이다. 누룽지를 살짝 튀겨 삼선 소스를 위에다 부어 먹는 요리로,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소스가 잘 어우러져 아주 맛있다.
-홍샤오치에즈(紅燒茄子) : 가지를 중국식 고추장 같은 양념에 넣어서 볶은 요리다.
-둥하이띵띵산(東海頂頂鮮) : 풀은 계란 안에 새우, 해삼 등 갖가지 해산물을 넣고 찐 요리다. 산둥과 허베이 인근에서 먹을 수 있다.
-루미앤(鲁面):산동요리로 해물잡탕을 말한다
● 주식과 탕류
중국 음식에서 주식(밥, 국수, 만두 등)은 요리를 다 먹은 다음 마지막으로 먹는다. 밥과 반찬을 같이 먹는 우리의 습관과 다르다. 밥 먹는 습관에 충실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중국 요리만 먹으면 뭔가 허전함을 느낄 것이다. 이럴 때는 종업원에게 밥을 요리와 함께 달라고 얘기하면 된다. 그렇지만 밥을 먹느라고 맛있는 요리를 먹지 못하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 밥을 먹기 전에 먼저 국이나 수프를 마신다.
-지룽위미껑(鷄茸玉米羹) : 달걀을 부드럽게 푼 옥수수 수프이다. 보통 중국의 탕은 느끼한 경우가 많은데, 이 탕은 전혀 느끼하지 않고 옥수수의 고소한 맛이 국물과 함께 부드러운 맛을 내 우리 입맛에 맞는다. 이것을 마시면 전체 식사를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
-미펀(米粉) :쌀가루로 만든 가늘고 납작한 국수를 말한다. 국물이 있는 국수가 아니라 볶은 국수이다.
-빠쓰(拔絲) : 우리 나라 맛탕과 비슷하다. 바나나로 만들면 빠쓰샹쟈오(拔絲香蕉), 사과로 만들었으면 빠쓰핑귀(拔絲平果)이다.
●샤오츠(小吃): 중국은 아침을 많이 먹지 않는다. 보통은 집밖에서 작은 간식들을 사다가 먹는다. 또 밖에서 먹을 경우 간단한 먹거리들을 사다가 해결하기도 하는데 여행자들에게는 아주 유용하다.
-샤오롱빠오(小籠包): 상하이가 본고장인 작은 만두. 지금은 어느 도시의 간이 식당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우리의 입맛에도 맞는 편이다.
-다오샤오미엔(刀削面): 국수의 일종으로 생각하고 먹으면 된다. 안에 소고기 등을 넣어먹을 수도 있다.
-라미엔(拉面) : 깐수성 란저우(蘭州)의 라면이 유명한데, 각 지역에는 특색적인 라미엔이 있다. 우리의 국수와 비슷한데, 약간 매운 맛이 들어갔다고 보면 된다. 안에 고기를 넣으면 니우로우라미엔(牛肉拉面)이다.
-지엔빙(煎餠) : 계란 부친 것에 야채와 고기 등 갖가지를 넣어서 먹는 음식으로 아침 식사 대용으로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이다. 어느 지역에서나 쉽게 먹을 수 있다.
-양로우추알(羊肉串) : 양고기 꼬치다. 밤 거리에서 주로 파는 데, 맥주와 더불어 먹기에 안성 맞춤이다. 소 힘줄을 구은 ‘빤진’이나 양갈비인 ‘양파이’, 서대 같은 물고기를 구은 ‘위’, 근육이 들어간 ‘로진’ 등 골고루 시켜서 먹는 것도 재밌다.
冷菜이라고 하는 차가운 음식....
1. 蔥油海哲(비슷하게 생긴 해파리:철) - 새콤달콤한 해파리 무침
2. 松花皮蛋- 피단아세요? 검은색의 계란인데요. 중국의 특산품이라고도 할 수 있지요. 영양이 많다고 하는데, 짱은 좋아합니다. 피단을(썩인 계란) 참기름을 두르고 연두부와 같이 나오지요.. ^^
3. 凉拌黃瓜 - 오이 무침
4. 油花生 - 땅콩 볶음
등이 있습니다.
* 熱菜 - 家常炒菜라고도 부른답니다.
1. 漁香肉絲는 당연 빠지지 않겠지요.
2. 宮保鷄丁- 면요리에도 나왔지만 닭을 깍뚝썰기로 썰어 땅콩과 야채를 넣어 매콤하게 한 요리
3. 糖醋排條 - 앞의 두글자 탕초라는 글자는 우리나라 탕수육의 맛을 낸다는 의미입니다. 돼지고기를 길게 썰어 달콤하고 시큼하게 한 요리
4. 椒鹽排條 - 초염이란 글자는 후추와 소금... 짭잘한 돼지고기 튀김입니다.
5. 麻油腰花 - 마유는 참기름 & 요화는 고기 중에서도 우리가 알고 있는 퍽퍽한 살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부담없이 먹기 편합니다.
6. 脆皮豆腐 - 연두부를 얇게 옷을 입혀 튀긴후 소스를 그위에 살짝..음~~~
7. 番茄炒蛋 - 앞에서 언급한!!! 토마토와 계란 볶음.
8. 漁香茄子 - 가지를 간장을 주되게 양념한 음식... 맛있어요.
9. 尖椒肉絲 - 고추와 돼지고기 채를 볶은 음식
10. 靑椒土豆絲 - 피망과 감자를 채로 썰어 볶음 음식
11. 麻辣豆腐 - 우리나라의 마라두부보다 맛나요... 빨간 기름위에 연두부와 땅콩, 고기가 올라가 있음
12. 香姑菜心 -표고버섯과 양배추를 볶음 음식
13. 蒜香空心菜 - 혹! 속이 비어있는 야채를 먹어보신적이 있으신지요? 속이빈 야채를 마늘을 넣어 볶은 음식
14. 雪菜~~ - 앞에 이글자가 들어가면요. 우리나라 짭잘한 우거지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우거지를 넣어 만든 ~~음식.
15. 撥絲地瓜 - 고구마에 설탕물, 엿, 꿀등을 부어 만든 요리
* 국물음식 - 湯例
1. 牛肉粉絲湯 - 가장 일반적으로 좋아하시는 탕... 소고기와 당면으로 만든 탕
2. 油豆腐粉絲靑菜湯 - 유부와 당면, 야채가 들어간 탕
3. 甛奬 - 이곳에서의 달짝지근한 콩국물... 많은 중국인이 이 콩국물과 튀김을 아침으로 먹죠
4. 咸奬- 짭잘한 맛의 연두부탕 - 이것 역시 중국인들이 아침에 많이 먹고 있음.= 豆花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쫌다름)
5. 醋辣湯- 시큰, 매콤한 이상한 탕- 시험삼아 드셔보실래요? ^^
6. 金針排骨湯 - 팽이버섯과 돼지 갈비의 만남... 갈비탕과 비슷!
7. 豆芽- 콩나물이나 숙주가들어간 " (중국에서는 콩나물과 숙주를 모두 '두아'라고 하는데요. 검은 콩~, 노란콩~으로 나눈답니다.
8. 冬瓜蛤蜊湯 - 동과는 우리나라 큰 푸른 호박인데요. 이것을 먹으면 더위를 덜탄다고 하네요. 맛은 무와 흡사! 허리는 조개랍니다. 국물이 시원한 탕
9. 番茄蛋湯 - 토마토와 계란의 또다른 조화... 탕!!!
10. 靑菜番茄豆腐花湯 - 야채& 토마토 & 연두부로 만든 탕- 새콤
11. 紅燒牛肉湯 - 불고기 비슷한 양념한 소고기를 물속에 퐁당
12. 炸菜肉絲湯 - 자차이는 이곳의 짠지입니다. 짠지와 돼지고기 채를 볶아 탕으로 만든것...
13. 雪菜肉絲湯 - 위에서 이야기한 우거지에 고기를 볶아서 물을 넣어 끓인 탕
14. 貢丸湯 - 동글한 오뎅이 들어가 있는 탕 - 漁丸湯... 비슷
1. 매콤한 辣肉面
2. 일반적인 牛肉面- (香菜라는 샹차이가 들어가야 일품!!-허나 한국에는 없는 맛이므로 첨에 먹기는 힘이 듭니다.)
3. 돼지간과 피망이 들어간 猪肝面
4. 돈까스가 올라간 大排面
5. 울 나라 불고기 양념을 따라한 고기 볶음이 올라간 紅燒肉面
6. 매콤한 돼지고기채 볶음의 魚香肉絲面(가장 입맛에 맞을듯!!)
7. 돼지고기 곱창이 들어간 大腸面 (비린내 조심)
8. 이름만 같고 맛은 틀린 炸醬面(대만 음식점의 짜장면은 괜찮아요)
* 덮밥으로는(.....飯으로 끝나는 메뉴)
1. 大排飯
2. 靑椒肉絲飯 - 피망과 돼지고기채가 볶아서 나옴
3. 宮爆鷄丁飯 - 닭고기를 깍뚝썰기로 썰어 매콤하게 양념하여 볶은것
4. 番茄炒蛋飯 - 토마토와 계란의 조화~~
5. 紅燒肉飯
6. 麻辣豆腐飯 - 두부를 매콤하게 역시 볶아 올린 밥
7. 楊州炒飯 - 가장 일반적인 볶음밥 (햄+야채...)
8. 蛋炒飯 - 계란볶음밥
9. 魚香肉絲飯
@ 水餃子 - 물만두는 뭐니 뭐니해도 북방이 알아준답니다.
1. (海)三鮮水餃 - 약간의 돼지고기와 새우등의 해산물을 넣어 만든 담백한 만두 (가격이 가장 비싸며, 맛있어요= 절때 돼지고기 냄새가 나지 않는답니다.)
2. 靑椒猪肉水餃 - 파란 피망과 돼지고기의 조화
3. 牛肉大蔥水餃 - 소고기와 파를 잘게 썰어서~~~
4. 白菜猪肉水餃 - 배추와 돼지고기로 만든 만두
5. 小籠包 - 중간에 색다른것! 水餃는 물에 넣어 삶은 것이 지만 샤오롱바오즈는 소쿠리에 놓고 찜으로 찌는것, 얇은 피속에 살코기가 한덩어리~ 드실때 속에서 흘러나오는 뜨거운물을 조심하세요 ' 상해의 특찬중 하나'
6. 西紅枾素菜水餃 - 토마토와 계란으로만 만든 야채 만두(맛있어요^^)
7. (부추:구)菜猪肉水餃- 부추와 돼지고기
8. (부추:구)菜素(소:함)水餃- 위의 만두에서 돼지고기만 빼고 계란이 들어간 담백한 만두.
9. 香(버섯:고)(소:함)水餃 - 컴에 없는 글자가 많네요..쩝 표고버섯이 주로 이루어이루어진 야채로 속이 채워진 만두
출처 : 한국인이 좋아하는 중국음식
글쓴이 : 주인장 원글보기
메모 :
'마이바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하철 9호선으로 새롭게 주목 받는 송파구 삼전동 (0) | 2008.02.03 |
---|---|
[스크랩] 항공연료 (0) | 2008.02.01 |
[스크랩] 몸에 좋은그림이래요... (0) | 2008.01.18 |
XP Tip (0) | 2008.01.15 |
[스크랩] 신 물리학과 기독교 진리 (0) | 2008.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