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보양음식의 허와 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는 무더운 여름철에 건강을 지키기 위해, 특별한 날을 정하여 보양·보신효과가 뛰어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때 먹는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삼계탕이나 보신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보양음식을 더위 속에서 굳이 땀을 흘려가며 먹으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름철에는 바깥의 상승된 기온 때문에 체온이 함께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표 근처에 많은 혈액이 모이게 된다. 따라서 체내의 위장과 근육에서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체온이 체표에만 몰리게 되므로 체내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중초(소화기계통)가 허랭해 지는 것을 막기 위해 온난한 음식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그럼, 여름에 많이 먹는 보양음식을 중심으로 잘못된 식습관과 그 올바른 효능을 알아보기로 하자.
삼계탕
삼계탕은 토종닭에 찹쌀·마늘·인삼(수삼)·대추 등을 넣고 끓여내는 탕으로, 여름이 되어 식욕이 떨어지고 만성피로 등 이른바 여름을 타는 증세가 나타나, 땀을 많이 흘려 기운이 빠지고 입맛을 잃기 쉬울 때 먹으면 보기(補氣)의 효과가 매우 높은 한국 전통 음식이다.
한의서인 <본초강목>을 보면 "닭고기는 보양·보익시켜 속이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며, <동의보감>에는 "닭고기는 허약한 것을 보호하는데 좋기 때문에 식사요법에 많이 쓴다. 그러나 풍이 있는 사람과 뼈에 열이 있는 사람(患骨熱人)은 적당치 않다. 닭은 오장을 충실하게 하지만, 그중 특히 간으로 들어가 간의 양기(陽氣)를 도움으로써 체내의 부족한 양기를 보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현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도 닭고기는 고단백 식품으로, 쇠고기보다 더 많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맛과 영양이 풍부하여 체내의 부족한 양기를 북돋아주는 건강식품이다. 특히 인삼·마늘·대추 외에도 황기 등을 더 첨가하면 지나친 발한(發汗)을 막아주어, 진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보신탕
보신탕이나 견육(犬肉)에 관하여는 <동의보감>에 "개고기는 성(性)이 온(溫)하고 미(味)는 산(酸)하고 무독(無毒)하다.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혈맥을 조절하며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여 기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양기를 도와서 양물(陽物)을 강하게 한다."고 했다.
<식료본초>에는 "개고기는 양사(성생활)를 장(壯)한다. 하초(下焦)를 강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한다. 모든 개는 피를 버리고 먹으면 좋지 않다. 즉 힘이 적어지고 사람에 이익하지 못하다. 개 쓸개는 장(臟) 속의 농수(膿水)를 없앤다."고 전한다. 또한 <신농본초경>에는 "수캐의 특정부위는 음위불기(陰 不起)를 강하게 하고 여인의 대하(자궁염)와 12질(12가지 부인병)을 없앤다."고 하였다.
반면 <방약합편>에는 견육은 양도를 튼튼하게 하나 오히려 양허에는 먹지 말도록 경고하고 있다. 양허에 견육을 먹으면 오히려 양기를 더 훼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구워서 먹으면 소갈이 항진한다 하고, 마늘을 같이 먹으면 원기를 손상한다 하여, 오히려 오늘날 견육을 마늘과 같이 먹는 것이 옳은 방법이 아님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가을(9월)에 먹으면 오히려 상신 한다 하였고, 비위가 허약하여 발생한 병을 치료하고 비위의 질병으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한편 개의 발굽은 모유의 생산을 촉진한다고 하였다. 이는 모유가 부족한 산모에게 저체(돼지 족)뿐 아니라 견체 또한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해 주는 대목이다. 한의서인 단계심법에는 달을 보고 짖는 개는 구보가 들어 있다 하여 양기에 神效함을 말해 주고 있다.
미꾸라지(loach)-추어탕
미꾸라지는 암청색의 민물어류로 길이는 약 20cm정도이며 주로 한국, 북한, 중국 등에서 서식하는 경골어류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다. <동의보감>에 추어(鰍魚)라 하고 한글로 "밋꾸리"라고 썼으며, <난호어목지>에는 이추(泥鰍)라 하고 한글로 "밋구리"라 쓰고 있다(미꾸리와는 차이가 있음). 몸 길이는 최대 약 20 cm이고, 주로 진흙 속의 유기물을 먹고산다.
<신농본초경>에 추어는 성질은 평이하며 맛은 달짝지근한데, 기를 더하며 주독을 풀고 갈증을 없애고 위를 따뜻하게 한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추어가 정력에 특히 좋다는 것은 한의학적으로 볼 때 그다지 신빙성이 있는 말은 아니다.
장어
장어의 종류에는 뱀장어·붕장어·갯장어가 있으며, 그중 뱀장어는 만어(鰻漁) 혹은 만리어라고 부르며 한의학의 처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味甘하며 충증(蟲症)을 다스리며, 치루·창진·붕루·대하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정력에 특별히 좋다는 문헌적인 근거는 없다. 영양학적으로는 한의학에서 약으로 사용해온 뱀장어가 다른 장어류보다 비타민 A와 지방 함유량, 열량이 가장 높다.
자라
자라는 지구상에 2억 년 전에 출현하여 지금까지 형태와 습성을 바꾸지 않고 종족을 보존해온 강인한 생명력을 갖고 있는 동물이다. 1년 중 6개월은 동면을 하여 성장을 중지하고, 6개월은 활동하여 성장한다. 자연 상태에서 성인 자라가 되기까지에는 3년에서 5년 정도 걸린다.
신비한 생명력을 지닌 자라가 4-6개월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서도 그 강인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평시에 생명의 양식을 유낭에 비축해 두고 있기 때문이다. 자라의 양쪽 겨드랑 밑에 있는 엄지 손가락정도 크기의 유낭은, 비축양식으로 아무것도 먹지 않은 채 자라유만으로 4-6개월 동안 견딜 수 있다.
자라는 각종 필수 영양소와 미네랄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다. 한방 고서(古書)상의 자라는 예부터 식용은 물론 생약재로도 널리 애용되어, 생리기능을 돕고 체력을 향상시키는 滋陰(음기의 부족을 채워주는)의 작용을 하는 식품이다. 중국 최고의 약물서인 <신농본초경>에는 자라껍질을 '별갑'이라고 하여 心腹의 종기나 해열에 사용하였다. <명의별록>에는 자라 고기를 '별육'이라 하여, 인체내장의 여러 기관의 이상을 다스리고 기력을 증강하며 부족을 보충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중약대전>의 '현대실용중약'에는 자라유가 자양강장제로 서술되어 있다.
이렇듯 여름철에 많이 먹는 보양음식이나 정력에 좋다는 보신탕이라 하여 우리 몸에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아무리 많이 먹는다 하더라도 모르고 먹으면 별로 기대한 만큼의 도움이 되지 못하고, 알고 먹으면 여름을 이기고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았을 것이다. 자, 우리 조상의 지혜가 담긴 토속 건강식의 올바른 활용으로 무더운 여름을 활기차게 이겨보자.
예로부터 우리나라에는 무더운 여름철에 건강을 지키기 위해, 특별한 날을 정하여 보양·보신효과가 뛰어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때 먹는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삼계탕이나 보신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보양음식을 더위 속에서 굳이 땀을 흘려가며 먹으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름철에는 바깥의 상승된 기온 때문에 체온이 함께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표 근처에 많은 혈액이 모이게 된다. 따라서 체내의 위장과 근육에서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체온이 체표에만 몰리게 되므로 체내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중초(소화기계통)가 허랭해 지는 것을 막기 위해 온난한 음식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그럼, 여름에 많이 먹는 보양음식을 중심으로 잘못된 식습관과 그 올바른 효능을 알아보기로 하자.
삼계탕
삼계탕은 토종닭에 찹쌀·마늘·인삼(수삼)·대추 등을 넣고 끓여내는 탕으로, 여름이 되어 식욕이 떨어지고 만성피로 등 이른바 여름을 타는 증세가 나타나, 땀을 많이 흘려 기운이 빠지고 입맛을 잃기 쉬울 때 먹으면 보기(補氣)의 효과가 매우 높은 한국 전통 음식이다.
한의서인 <본초강목>을 보면 "닭고기는 보양·보익시켜 속이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며, <동의보감>에는 "닭고기는 허약한 것을 보호하는데 좋기 때문에 식사요법에 많이 쓴다. 그러나 풍이 있는 사람과 뼈에 열이 있는 사람(患骨熱人)은 적당치 않다. 닭은 오장을 충실하게 하지만, 그중 특히 간으로 들어가 간의 양기(陽氣)를 도움으로써 체내의 부족한 양기를 보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현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도 닭고기는 고단백 식품으로, 쇠고기보다 더 많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맛과 영양이 풍부하여 체내의 부족한 양기를 북돋아주는 건강식품이다. 특히 인삼·마늘·대추 외에도 황기 등을 더 첨가하면 지나친 발한(發汗)을 막아주어, 진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보신탕
보신탕이나 견육(犬肉)에 관하여는 <동의보감>에 "개고기는 성(性)이 온(溫)하고 미(味)는 산(酸)하고 무독(無毒)하다.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혈맥을 조절하며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여 기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양기를 도와서 양물(陽物)을 강하게 한다."고 했다.
<식료본초>에는 "개고기는 양사(성생활)를 장(壯)한다. 하초(下焦)를 강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한다. 모든 개는 피를 버리고 먹으면 좋지 않다. 즉 힘이 적어지고 사람에 이익하지 못하다. 개 쓸개는 장(臟) 속의 농수(膿水)를 없앤다."고 전한다. 또한 <신농본초경>에는 "수캐의 특정부위는 음위불기(陰 不起)를 강하게 하고 여인의 대하(자궁염)와 12질(12가지 부인병)을 없앤다."고 하였다.
반면 <방약합편>에는 견육은 양도를 튼튼하게 하나 오히려 양허에는 먹지 말도록 경고하고 있다. 양허에 견육을 먹으면 오히려 양기를 더 훼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구워서 먹으면 소갈이 항진한다 하고, 마늘을 같이 먹으면 원기를 손상한다 하여, 오히려 오늘날 견육을 마늘과 같이 먹는 것이 옳은 방법이 아님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가을(9월)에 먹으면 오히려 상신 한다 하였고, 비위가 허약하여 발생한 병을 치료하고 비위의 질병으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한편 개의 발굽은 모유의 생산을 촉진한다고 하였다. 이는 모유가 부족한 산모에게 저체(돼지 족)뿐 아니라 견체 또한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해 주는 대목이다. 한의서인 단계심법에는 달을 보고 짖는 개는 구보가 들어 있다 하여 양기에 神效함을 말해 주고 있다.
미꾸라지(loach)-추어탕
미꾸라지는 암청색의 민물어류로 길이는 약 20cm정도이며 주로 한국, 북한, 중국 등에서 서식하는 경골어류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다. <동의보감>에 추어(鰍魚)라 하고 한글로 "밋꾸리"라고 썼으며, <난호어목지>에는 이추(泥鰍)라 하고 한글로 "밋구리"라 쓰고 있다(미꾸리와는 차이가 있음). 몸 길이는 최대 약 20 cm이고, 주로 진흙 속의 유기물을 먹고산다.
<신농본초경>에 추어는 성질은 평이하며 맛은 달짝지근한데, 기를 더하며 주독을 풀고 갈증을 없애고 위를 따뜻하게 한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추어가 정력에 특히 좋다는 것은 한의학적으로 볼 때 그다지 신빙성이 있는 말은 아니다.
장어
장어의 종류에는 뱀장어·붕장어·갯장어가 있으며, 그중 뱀장어는 만어(鰻漁) 혹은 만리어라고 부르며 한의학의 처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味甘하며 충증(蟲症)을 다스리며, 치루·창진·붕루·대하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정력에 특별히 좋다는 문헌적인 근거는 없다. 영양학적으로는 한의학에서 약으로 사용해온 뱀장어가 다른 장어류보다 비타민 A와 지방 함유량, 열량이 가장 높다.
자라
자라는 지구상에 2억 년 전에 출현하여 지금까지 형태와 습성을 바꾸지 않고 종족을 보존해온 강인한 생명력을 갖고 있는 동물이다. 1년 중 6개월은 동면을 하여 성장을 중지하고, 6개월은 활동하여 성장한다. 자연 상태에서 성인 자라가 되기까지에는 3년에서 5년 정도 걸린다.
신비한 생명력을 지닌 자라가 4-6개월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서도 그 강인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평시에 생명의 양식을 유낭에 비축해 두고 있기 때문이다. 자라의 양쪽 겨드랑 밑에 있는 엄지 손가락정도 크기의 유낭은, 비축양식으로 아무것도 먹지 않은 채 자라유만으로 4-6개월 동안 견딜 수 있다.
자라는 각종 필수 영양소와 미네랄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다. 한방 고서(古書)상의 자라는 예부터 식용은 물론 생약재로도 널리 애용되어, 생리기능을 돕고 체력을 향상시키는 滋陰(음기의 부족을 채워주는)의 작용을 하는 식품이다. 중국 최고의 약물서인 <신농본초경>에는 자라껍질을 '별갑'이라고 하여 心腹의 종기나 해열에 사용하였다. <명의별록>에는 자라 고기를 '별육'이라 하여, 인체내장의 여러 기관의 이상을 다스리고 기력을 증강하며 부족을 보충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중약대전>의 '현대실용중약'에는 자라유가 자양강장제로 서술되어 있다.
이렇듯 여름철에 많이 먹는 보양음식이나 정력에 좋다는 보신탕이라 하여 우리 몸에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아무리 많이 먹는다 하더라도 모르고 먹으면 별로 기대한 만큼의 도움이 되지 못하고, 알고 먹으면 여름을 이기고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았을 것이다. 자, 우리 조상의 지혜가 담긴 토속 건강식의 올바른 활용으로 무더운 여름을 활기차게 이겨보자.
출처 : 여름철 보양음식의 허와 실
글쓴이 : 지나다가 원글보기
메모 :
'마이바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혈액형별 공부비법 꼭 성공하시길~~ (0) | 2006.06.28 |
---|---|
[과학향기] 하얀 설탕의 검은 얼굴 (0) | 2006.06.27 |
[스크랩] 가슴 뭉클한 옛 풍경들 (0) | 2006.06.26 |
[스크랩] 가슴 뭉클한 옛 풍경들 (0) | 2006.06.26 |
경명주사란 본래 경면주사(鏡面 (0) | 2006.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