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인도에 추월당한 한국 경제
인도의 경제력이 결국 대한민국을 추월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8일 “인도가 경기 호황에 힘입어 지난 회계연도(2006.4∼2007.3)에 8.9%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국내 총생산(GDP) 규모로는 8400억 달러로 한국의 지난해 추정치인 8269 억달러를 넘어선다. 나아가 인도 통계청이 발표한 성장률 9.2%, GDP 8540억 달러와 대비하면 간극은 더 벌어진다. 인도에 앞서 브라질과 러시아가 이미 한국을 앞질렀다.
한국이 세계 10대 경제권에서 탈락하리라는 전망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이젠 아시아에서도 일본과 중국, 또 인도에 밀려 제 4위로 물러앉고 있는 것이다.
무엇이 언제부터 어떻게 잘못돼 이렇게 후진하고 있는가. 노무현 정부 들어 저성장 국면이 이어져왔기 때문이며, 그 원인을 정부 가 제공해 왔음을 새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성장이 일자리 문제도 해결하고 국민 후생을 해결하던 시대는 이제 거의 끝나간다”는 노 대통령의 ‘지론’이 기업과 정부가 힘을 합치지 못하게 하고, 따라서 성장 잠재력까지 갉아 온 것이다 .
한국 경제가 그나마 버티는 동력은 민간 기업의 치열한 연구개발(R&D) 노력이다. 한국이 지난해 국제특허협력조약(PCT)에 따른 특허 출원 건수에서 전년에 비해 26.6% 늘어난 5935건을 기록, 영국과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4위에 오른 실적이 그같은 노력의 한 결실임은 물론이다. 기술 경쟁력 전반을 보더라도 삼성경제연구소는 연초 ‘2007년 국내경제 10대 트렌드’에서 연내 세계 7위 기술 강국으로의 진입 가능성이 경제 전반의 어두운 전망 속 한줄기 빛일 것으로 기대했다.
특허 강국 한국을 주목한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는 7일 동북아 국가들의 인상적인 성장에 주목하면서 “동북아가 특허 시스템의 지형과 미래 글로벌 경제 성장의 지형 모두를 변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을 추월해 앞서 달리는 러시아, 브라질, 인도 등이 공통적으로 시장 경제 원리에 충실하면서 작은 정부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과 노 정부의 반(反)시장, 큰 정부 성향을 대조하면 글로벌 경제 성장의 지형을 변화시키는 혁신의 아시아에서 한국의 설 자리는 점점 더 좁아질 상황이다.
문화일보 2007-02-09 14:05
인도, 한국 제치고 아시아 경제대국 3위로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인도가 올해 한국을 제치고 일본, 중국에 이어 아시아 3위의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고 IMF 관계자가 7일 밝혔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인도는 경기 호황에 힘입어 2006 회계연도(2006년 4월~2007년 3월)에 사상 유래 없는 8.9%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GDP(국내총생산) 순위로 한국에 이어 세계 12위였던 인도가 8400억 달러를 기록, 5%의 성장률을 감안한 한국의 GDP 예상치인 8269억 달러를 제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러시아의 경우 석유 생산 증대 등에 힘입어 GDP가 7633억 달러에서 9750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돼, GDP 14위에서 10위 국가로 껑충 뛸 것으로 예상됐다.
2005년 기준 GDP 규모에 따른 세계 경제력 1~9위 국가는 미국(12조4500억 달러), 일본(4조5600억 달러), 독일(2조7900억 달러), 중국 (2조2300억 달러), 영국(2조2900억 달러), 프랑스(2조1200억 달러), 이탈리아(1조7600억 달러), 캐나다(1조1300억 달러), 스페인(1조1200억 달러) 순이다.
한국(7800억 달러)은 브라질 (7950억 달러), 인도 (7700억 달러), 멕시코(7600억 달러)와 함께 공동 10위권 국가로 분류됐었으나 이제 러시아와 인도의 급성장으로 12위 이하로 뒤처지게 됐다.
연합뉴스 2007.02.08 15:57
브라질ㆍ러시아 이어 인도마저 한국 추월하나
한국과 함께 세계 10위권의 경제 규모를 놓고 경쟁하던 국가들이 지난해와 올해 우리를 제치고 앞질러 가기 시작했다. 브라질이 이미 2005년 한국을 앞서 간 데 이어 2006년에는 브라질과 러시아가 추월했다. 인도는 2006년 한국과 격차를 근소하게 좁힌 데 이어 2007년에는 한국을 추월할 것이 거의 확실해 보인다. 한국 경제가 성장 동력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채 주춤거리고 있는 몇 년 동안 경쟁 국가들 발걸음은 더욱 빨라지고 있다.
러시아는 석유 수출 증가로 2004년 이후 불과 2년 사이 국내총생산을 두 배로 불려가고 있다. 2004년 5890억달러에 그쳤던 러시아의 GDP는 2006년 9753억달러를 거쳐 2007년에는 1조1589억달러로 10위권 경쟁국가들을 확실하게 제치면서 확고한 10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된다.
![]() |
브라질도 2004년에는 6037억달러로 한국의 6799억달러에 뒤졌지만 2005년 한국을 앞지른 데 이어 2007년에는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경쟁 대열에서 뒤지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인도와 한국은 국내총생산 규모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인도가 지난해 사상 유례 없는 8.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06년 GDP 확정치에서 한국을 앞지를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5% 수준에 그쳐 대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IMF는 지난해 9월 2006년 예상치를 내놓으며 한국이 인도를 다소 앞지를 것으로 전망했지만 유동적이다.
매일경제 2007-02-08 20:02
'마이바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름 적게 먹는 차' 개발 경쟁 (0) | 2007.03.22 |
---|---|
[스크랩] 미래 재앙 예고하는 고령화 보고서 (0) | 2007.03.20 |
"한국 경제 30년내 독일 추월"<獨紙> (0) | 2007.03.20 |
우주는 지금 `중·일 전쟁` 한창 [중앙일보] (0) | 2007.03.19 |
조선업계 ‘첨단공법’ 돛 달고 수주 척척 (0) | 200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