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을 미워하면 나도 미움 받는다.
마음이 화로 가득 차 있을 때는 어떠한 반응도 하지 말아야 한다.
말도 하지 말고 어떤 행동도 보이지 말아야 한다.
화가 났을 때 섣불리 말을 하거나 행동을 보여주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자신에게로 되돌아가서 화를 잘 보살펴야 한다.
화는 우리안에 자리잡고 있는 에너지 지대다. 그것은 우리가 돌봐야 할 병든 아기다.
화를 다스리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또 다른 에너지 지대를 만들어서 그것으로 하여금 화를 감싸안고 보살피게 하는 것이다. 이 또 하나의 에너지가 곧 자각의 에너지다. 자각은 부처의 에너지다.그것은 누구나 가질 수 있다. 의식적인 호흡과 보행을 통해서 우리도 그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우리 안의 부처는 단지 하나의 개념이 아니다. 우리는 누구나 자각의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안의 부처는 어떤 이론이나 관념이 아닌 실재로 존재한다.
자각은 현재의 순간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지금 이 순간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깨닫는 것이다. 이 에너지는 수련을 위해서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자각의 에너지는 아파하는 아기를 품안에 안아서 보살펴주는 우리의 큰형이고 큰누이이고 어머니이며,그 아기는 다름아닌 우리의 화와 절망과 시기심이다.
제1의 에너지 지대는 화이고 제2의 에너지 지대는 자각이다. 수련은 자각의 에너지로 화의 에너지를 파악하고 감싸아는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매우 부드럽게, 거칠지 않게 실천해야한다. 그것은 화를 억누르는 행위가 아니다. 자각도 화도 다 우리의 몸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몸을 자각과 분노가 서로 싸우는 싸움터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자각은 좋고 옳은 것이고,화는 나쁘고 옳지 못한 것이라고 믿어서도 안 된다. 그것은 그릇된 생각이다 다만 화는 부정적인 에너지고 자각은 긍정적인 에너지라는 사실을 인식해야할 따름이다. 그러면 그 부정적인 에너지를 보살피기 위해서 긍정적인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우리의 수련은 이 같은 비이중성에 대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부정적인 감정도 긍정적인 감정도 우리의 몸 안에서 유기적으로 발생하는 현실적인 감정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감정들이 서로 싸우게 해서는 안된다. 단지 감싸안고 보살펴주기만 하면 된다. 불교의 전통에서 명상은 자신의 마음을 선과 악이 맞서 싸우는 싸움터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는 악한 감정에 맞서 싸워서 그것을 마음속에서 몰아내야 한다고 믿기가 쉽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수련은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우리 안에서 쓰레기를 갖고 있지 않다면,비료를 만드는데 쓸 재료가 아무것도 없게 된다. 비료를 갖지 못하면 우리는 우리 안의 꽃을 길러내지 못한다. 그러므로 우리에겐 고난이 필요하다. 고난은 유기체이므로 우리는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고 좋은쪽으로 이용할 수 있다. 우리의 실천방법은 비폭력적인 것이어야 한다. 비폭력은 나와 남이 하나이고,이 세상의 모든 것이 하나임을 인식하는 데서만 나온다. 그것은 삼라만상이 서로 관련되어 있고 저 혼자서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남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곧 자신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나와 남이 하나임을 인식하지 못하면 우리는 누구나 폭력적으로 변할 수 있다. 남을 응징하고,억압하고 파괴하기를 원하게 된다. 그러나 삼라만상이 모두 하나임을 통찰하면 우리는 우리 안에 있는 쓰레기와 꽃을 모두 미소로 바라볼수 있고 감싸안을 수 있다. 이 통찰이 비폭력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다.
삼라만상이 모두 하나임을 통찰하고 있을 때, 우리는 자신의 몸을 가장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보살피게 된다. 화를 비롯한 모든 정신적 상태를 비폭력적으로 돌보게 되고, 우리의 형제와 자매와 아버지와 어머니를, 우리가 속한 집단과 사회를 지극히 자애로운 마음으로 돌보게 된다. 비폭력은 이 같은 마음가짐에서 태어날 수 있는 것이다. 공존을 통찰하고 있을 때 우리는 그 어떤 사람도 우리의 적으로 보지 않게 된다.
우리의 수련의 기초는 비이중성과 비폭력을 통찰하는 것이다. 이 통찰은 우리의 몸을 자애롭게 돌보는 방법을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우리는 우리의 분노와 절망을 자애를 가지고 대해주어야 한다. 분노는 우리가 나날이 살아가는 방식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우리 안의 모든것을 차별없이 잘 돌보면 우리는 부정적인 감정이 우리를 지배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부정적인 감정의 씨들이 급기야 우리를 사로잡지 못하도록 미리 그 힘을 꺽어 놓을 수 있다.
출처 : 틱낫한 스님의 화 .....13
글쓴이 : 르네 원글보기
메모 :
'處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자가 되기 위한 50계명 (0) | 2007.03.04 |
---|---|
[스크랩] 자기계발에 시간을 투자하는 7가지 방법 (0) | 2007.03.03 |
끌리는 사람이 되는 21가지 방법 (0) | 2007.03.02 |
좋은 친구 만드는 10가지 방법 (0) | 2007.03.02 |
사기치는 법, 사기 당하는 법’ (0) | 2007.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