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물류 일반관리] 요약
[유통물류 일반관리]
1.유통의 기능
ㅇ소유권 이전기능(상적유통기능)
ㅇ물적유통 기능:장소적 효용(운송기능), 시간적 효용(보관기능)
ㅇ조성기능:표준화 기능, 시장금융 기능, 시장정보 기능, 위험부담 기능
2.유통산업의 역할
ㅇ사회적 역할:소비문화의 창달, 풍요로운 국민생활에 공헌
ㅇ경제적 역할:생산자와 소비자간 매개역할, 산업발전의 촉매역할, 고용창출, 물가조정
3.유통경로
ㅇ유통경로의 필요성(3원칙):총거래수 최소화, 집중준비, 분업의 원칙
ㅇ유통경로의 효용:시간효용, 장소효용, 소유효용, 형태효용
ㅇ유통경로의 역할:교환과정의 촉진,제품구색 불일치의 조화,거래의 표준화,생산과 소비
연결, 고객서비스 제공,정보제공,쇼핑의 즐거움 제공
4.수직적 유통시스템이 일반적인 형태(계약형 시스템)
ㅇ도매상 후원 자유연쇄점(Voluntary Chain):도매상 주도
ㅇ소매상 협동조합(Cooperative):소매상 연합
ㅇFranchise Systemcf.Corporate Chain(Regular Chain)
5.소매업태의 분류
ㅇ점포판매
-백화점
-슈퍼마켓 계열:전통적 슈퍼마켓, 확장형 슈퍼마켓(SSM)
-할인점 계열:Discount Store, Hyper Market, Super Center, MWC, Outlet,
Category Killer, PowerCenter
-편의점(CVS), 전문점, 재래시장
-쇼핑센타, 쇼핑몰
ㅇ무점포 판매
-통신판매:인쇄매체(DM 소매업, 카다로그 통판), 전화(텔레마케팅), TV(홈쇼핑)
인터넷(인터넷 쇼핑몰)
-인적 직접판매:방문판매, 다단계판매(Network Marketing)
-기계판매:자판기 등
6.소매업의 발전 이론
ㅇ소매상 수레바퀴 이론(wheel of retailing)
ㅇ소매점 아코디언 이론
ㅇ소매상 수명주기 이론
ㅇ변증법적 과정
7.유통환경의 변화
ㅇ인구통계학적 요인
ㅇ사회경제적 환경요인
ㅇ시장환경요인
ㅇ기술적 환경요인
8.소매업의 사회.경제적 역할
ㅇ소비자에 대한 역할
ㅇ공급부문(생산자, 도매업)에 대한 역할
9.도매업의 사회.경제적 역할
ㅇ생산자(제조업)에 대한 역할
ㅇ고객(소매업)에 대한 역할
10.도매상의 분류
ㅇ상인도매상:완전 서비스(기능) 도매상, 한정 서비스 (기능) 도매상
ㅇ대리점과 broker
ㅇ제조업체 지점/영업소
11.물류/물류시스템/물류정보시스템의 목표
ㅇ고객서비스 향상 및 물류비 절감(효율 제고)cf. trade-off
12.물류관리의 변천
ㅇ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PDM)
ㅇLogistics Management(LM)
ㅇSupply Chain Management(SCM)
13.물류의 영역과 기능
ㅇ물류의 영역:조달물류, 생산물류(사내물류), 판매물류
ㅇ물류의 기능:운송, 하역, 보관, 포장, 가공/정보
14.물류관리의 원칙
ㅇ3S 1L:Speedy, Surely, Safely, Lowly
ㅇ7R:Right(commodity, quantity, quality, price, place, time, impression)
15.물류(관리)의 중요성
ㅇ생산비 절감의 한계, 물류비 증가추세, 고객요구의 다양화/전문화/고도화,
기업의 경쟁력 강화, 제3의 이익원, 기술혁신/IT 발전에 의한 물류기능의 발전
16.우리나라 물류의 발전과정
ㅇ 물류의 전근대기:1970년 이전
ㅇ 물류의 맹아기:1970년대
ㅇ 물류의 개화기:1980년대
ㅇ 물류의 도약기:1990년 이후 유통시장 개방(1996)
17.물류 조직의 형태
ㅇ직능형 조직ㅇ라인과 스탭 조직
ㅇ사업부형 조직ㅇ그리드형 조직
18.물류시스템 구성요소
ㅇ고객서비스, 주문관리/처리, 수요예측과 기획, 재고관리, 유통정보, 하역, 포장,
부품 및 서비스 지원, 공장 및 물류거점 입지 선정, 조달, 역물류, 운송관리,
창고 및 보관관리
19.기업회계와 물류비
ㅇ재무회계: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등 재무제표상의 결산공고
ㅇ관리회계:기업의 내부 회계제도*정확한 물류비 파악
20.물류비 분류 체계
ㅇ발생형태별:자가물류비, 위탁물류비, 타사지불물류비
ㅇ영역별;조달물류비, 생산(사내)물류비, 판매물류비, 회수물류비
ㅇ기능별:운송비, 하역비, 보관비, 포장비, 유통가공비/물류정보비
ㅇ관리목적별:부서, 업체, 운송수단, 물류거점
21.물류 합리화
ㅇ물류표준화
-unit load system:일관팔레트화, 컨테이너화
-물류표준화의 효과
ㅇ물류공동화
-pallet pool
-공동배송, 공동보관(공동집배송단지 등)
-물류공동화의 효과
22.국가물류 기본계획의 세부 목표(2001년 수립)
ㅇGlobal/Custom-made/Seamless/Cyber/Open/Green Logistics
23.국내 물류정책의 변천
ㅇ1990년대:독립적이고 종합적인 물류정책 수립
ㅇ1994년 화물유통기본계획을 수립
ㅇ2000년대
-동북아 물류중심지화 정책
-국가물류기본계획
-도시물류기본계획
-유통단지 종합계획
[상권 분석]
1.유통집적 시설에 유리한 입지 조건
ㅇ교외지역, 간선도로망, 핵점포(key tenant), 주차장 규모, 점포부족 상태,
독립상권의 성격
2.상권의 정의
ㅇ단독, 또는 집적의 상업시설이 고객을 흡인할 수 있는 지리적 범위
ㅇ상세권:집적 상업시설
3.상권의 구분
ㅇ1차상권
ㅇ2차상권
ㅇ3차상권
4.쇼핑센타
ㅇ미국 sprawl 현상, 2차 세계대전 후, 자동차 보급
ㅇ근린형 쇼핑센타(neighborhood shopping center)
커뮤니티형(준교외형) 쇼핑센타(community shopping center)
지역형(교외형 쇼핑센타(regional shopping center)
5.노면 독립입지
ㅇ독자적 상권개척:공격적 마케팅 구사
ㅇ기존상권에 진입:차별화 전략 구사
6.복합용도 개발지역의 3가지 요건(위더스푼)
ㅇ3가지 이상의 주요 소득 용도 수용:주거, 작업, 여가 등
ㅇ물리적.기능적 규합;고도의 토지 이용
ㅇ통일성 있는 계획에 의한 개발
ㅇ복합용도 개발의 효과
-도시의 균형발전 도모
-도심공동화 현상 방지
-도심지내 생활편의 시설의 설치로 도시의 생동감
-교통 혼잡 방지 등
7.백화점의 입지 특성
ㅇ유동인구와 거주인구 요인이 가장 중요
ㅇ상품구색의 종합화로 one stop shopping 공간 제공, 문화생활의 장소적 기능 제공
8.SPA(S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ㅇ1986년, GAP 시초
ㅇ제조직매형 소매점
9.넬슨의 입지평가 방법(8대 법칙)
ㅇ상권의 잠재력, 접근 가능성, 성장 가능성, 중간 저지성(차단성),
누적적 흡인력(점포의 집중성), 양립성(상호 보완성), 경쟁 회피성, 경제성
10.상업지의 입지 조건
ㅇ사회.경제적 조건
-배후지 및 고객이 양과 질
-고객의 교통수단과 접근성
-당해 지역의 발전.번영의 정도
ㅇ물리적 조건
-가로의 구조 및 길이
-일일 교통인구
11.상품에 따른 상점의 종류
ㅇ편의품점
ㅇ선매품점
ㅇ전문품점
12.공간균배의 원리에 의한 상점의 분류
ㅇ집심성 점포:도심 중심지
ㅇ집재성 점포:동일 업종이 몰려 있음
ㅇ산재성 점포:분산 입지가 유리
ㅇ국부적 집중성 점포:종묘점, 농기구점, 석재점, 어구점, 비료점 등
13.입지영향 인자(요소, 요인)
ㅇ인구통계, 라이프스타일 특성
ㅇ접근성 분석:적응형 입지, 목적형 입지, 생활형 입지
ㅇ경쟁상황 파악
ㅇ시너지(상승) 효과 고려
ㅇ소비자의 상권이용 형태:대형 지향성, 평탄하거나 아래쪽 선호, 전면성 선호,
비역류성(비번화 지역에서 번화 지역으로 이동)
ㅇ법적 조건 점검:용도지역, 건폐율/용적률
ㅇ성장성 분석
14.상권조사 인자
ㅇ고객 조사:인구밀도, 연령대, 성별, 소득, 주거형태, 구매습관 등
ㅇ집객요소
ㅇ점포주변 환경:경쟁점, 유동인구
ㅇ상권의 전망
ㅇ상권발전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요인
15.자료의 구분
ㅇ1차 자료:
ㅇ2차 자료:
16.상권분석 이론
ㅇ서술적 방법:체크리스트법, 유추법, 현지조사법, 비율법
ㅇ규범적 모형:중심지 이론, 레일리의 소매인력 법칙, 컨버스의 수정 소매인력 법칙
ㅇ확률적 모형:허프의 확률 모델, 수정 허프 모델, MNL
17.내점객 조사
ㅇ고객점표법:애플바움, CST(customer stopping technique)
ㅇ실제조사 방법:드라이브 테스트, 직접면접 조사
ㅇ2차자료 이용법:time-fare법, 판매기록 이용법
ㅇ유동인구 조사:고객 흡인률
18.경쟁점 조사 순서
ㅇ조사 포인트 결정
ㅇ조사의 목적 수립
ㅇ자점의 현상요약
ㅇ세부조사항목 결정
ㅇ현장조사 실시
ㅇ조사결과 정리
ㅇ자점과 대비분석
ㅇ교육 후 현장에 반영
ㅇ시행결과 feedback
19.경쟁점 대응 전략
ㅇ경쟁점 출현 전 상권에 대한 장악력 확보
ㅇ경쟁점의 장.단점 파악후 다양성 또는 전문성(차별성)을 강조
ㅇ유통에 대한 장악력:공급업체(vendor) 관계
ㅇ경쟁점에 대응할 만한 판촉 대안 수립
ㅇ상품분석 세분화에 의한 세부 차별화 요소 파악
ㅇ입지 집적도:가까운 곳에서 많은 고객이 찾아오는 경우에 입지 집적도 높음
[유통마케팅]
1.조직의 기본원칙
ㅇ3면등가의 원칙:각 직무의 책임,권한,의무가 대등
ㅇ책임과 권한의 원칙
ㅇ명령의 일원화 원칙
ㅇ통제범위의 원칙:span of control(5-6명, 15명 전후)
ㅇ전문화의 원칙
ㅇ권한이양의 원칙
2.직무분석
ㅇ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직무인식사항,직무개요,직무내용
ㅇ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직무요건 서술
3.직무평가
ㅇ서열법, 분류법(직무등급법), 점수법, 요소비교법
4.직무설계 방법
ㅇ직무순환
ㅇ직무확대화
ㅇ직무충실화
5.인사고과상의 오류
ㅇ상동적 태도(stereotyping)
ㅇ현혹효과, 후광효과(halo effect)
ㅇ관대화 경향
ㅇ중심화 경향
ㅇ대비오류
6.교육훈련
ㅇOJT(on the job training),OFF-JT(off the job training)
7.리더십 이론
ㅇ리더의 특성 이론:리더의 중요 특성
ㅇ행동이론
-독재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
-직무중심적/부하중심적
-구조주도적/고려적
-관리그리드
ㅇ상황이론
-상황적합성 이론-의사결정상황 이론
-수명주기이론
8. 동기 이론
ㅇ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이론
ㅇ앨더퍼의 ERG 이론:Existence-Relatedness-Growth
ㅇ맥그리거의 XY 이론
ㅇ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위생요인, 동기요인
9.손익계산서
ㅇ매출액, 매출이익, 판매 및 일반관리비, 영업이익, 지급이자, 경상이익,
법인세, 당기순이익
ㅇ매출이익률,영업이익률, 경상이익률
ㅇ판매관리비 구분:고정비, 변동비
ㅇ손익분기점:손익분기점 매출 계산 공식
10.상품회전율 공식 및 의의
11. 매장조성 단계
ㅇLay-out, Zoning, Facing
12.진열의 원칙
ㅇ보기 쉽고 선택하기 쉬어야
ㅇ사기가 쉬어야
ㅇ전체적으로 균형cf. 골든 스페이스
ㅇAIDCA 원칙:AIDMA
13.진열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
ㅇPOP(point of purchase) 광고
ㅇ효과적인 색채
ㅇ효과적인 조명
14.TPOS에 의한 상품분류
ㅇtime, place, occasion, style
15.가격관련 주요 용어
ㅇprice zone, price line, price range
16.상품구성:product mix, assortment
ㅇ상품의 폭(width) * 상품의 깊이(depth)=assortment(product mix)
17.상품매입 프로세스
ㅇ마케팅 조사-매입계획이 수립(판매계획에 기초함)-매입상품의 선정-매입처 선정-
매입방법 결정-매입수량과 시기 결정
18.구매의 5원칙
ㅇRight(place, quality, quantity, time, price)
19.Merchandising의 의미
ㅇ유통업체(중간상)의 입장, 메이커의 입장 구분
20.머천다이저와 바이어의 구분
21.재발주 기술
ㅇ적정재고량 결정요인:고객수요량, 상품투자 자금(재고투자액), 재고비용
ㅇ선매품의 재발주 기술:model stock plan 기준
ㅇ항상상품(편의품) 재발주 기술:basic stock list 기준
22.재고관리 모형
ㅇEOQ:economic order quantity
ㅇROP:re-order point
ㅇABC 관리방식
ㅇ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ㅇJIT:just in time
23.재고과다 및 재고과소의 장단점 비교
24. 기말재고 산출 공식=기초재고액+기초매입액-당기 매출액
25.상품의 수명주기(life cycle)별 특징
ㅇ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
26.상품유형별 지식
ㅇ패션상품:의류품, 신변용품
ㅇ농수축산물
ㅇ가공식품
ㅇ주생활용품:내구소비재, 가정용품
ㅇ기타상품:교양, 문화, 스포츠, 오락 등
27.마케팅 믹스(4P)
ㅇ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28.소구수단에서 본 판매 촉진
ㅇ상품자체에 의한 판촉
ㅇ인간에 의한 판촉
ㅇ정보에 의한 판촉:광고
ㅇ서비스에 의한 판촉:행사,진열,포장 등
29.촉진 믹스의 구성요소별 장단점
ㅇ광고(advertising)
ㅇ홍보(publicity, PR)
ㅇ판매촉진(sales promotion)
ㅇ인적판매(personal selling):영업
30.판매정보의 종류
ㅇ고객, 경쟁사, 취급상품 등에 관한 정보
30.충성도/애호도(loyalty)
ㅇcustomer loyalty, brand loyalty, store loyalty
31.충성고객의 형성 단계
ㅇSuspect:구매 용의자
ㅇProspect:구매 가능자, 비자격 잠재자
ㅇCustomer:최초 구매고객, 반복 구매고객
ㅇClient:단골고객
ㅇChampion/Advocate:지지고객, 옹호자
32.충성고객의 이점
ㅇ마케팅 비용 대폭 절감:신규 고객 유치 비용의 1/5
ㅇ구전 광고 효과
ㅇ시간의 경과에 따라 구매 규모가 늘어남
33.마케팅의 변천
ㅇmass marketing-target marketing-niche marketing-database marketing-
one-to-one marketing
34.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ㅇ고객유치-고객유지-평생고객화
35.Closing(판매의 종결)
ㅇ주요 목적은 금전 수수임.
ㅇ받은 돈과 거스름 돈을 확인하여 금전수수상의 착오를 방지
36.고객 complain의 바람직한 처리단계
ㅇ주의 깊은 경청과 공감 표현
ㅇcomplain의 내용을 정확하게 질문 및 기록
ㅇ고객에게 complain을 이해하였음을 표현
ㅇ해결방안 모색 및 고객의 동의
ㅇcomplain에 대하여 감사 표현
37.고객 불만의 65% 정도는 고객서비스 접점(현장)에 있는 종업원에 의해 접수됨.
ㅇ최단 시간의 서비스 회복(service recovery)로 고객불만이 오히려 고객충성도로
이어질 수도 있음.
38.포장의 사용면에서의 분류
ㅇ수송포장, 소비자 포장
39.포장의 기능
ㅇ 제품기능:제품보호, 사용상 편리성
ㅇ 의사전달 기능:디자인, 정보제시, 구매태도에의 영향
ㅇ 가격기능:대형포장을 통해 가격 인하, bundle 포장으로 대량 구매 유도(할인점),
가격표시 기능
[유통정보]
1.자료,정보,지식 간의 관계
ㅇ자료:1차 자료, 2차 자료
2.정보의특성
ㅇ정확성, 완전성, 경제성, 신뢰성, 관련성(인과관계), 단순성, 적시성, 입증가능성
3.정보화 사회의 특성
ㅇ사회적 측면:다양화 및 분권화
ㅇ경제적 측면:소품종 다량생산 방식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mass customization
ㅇ산업적 측면:지적 기술 및 정보를 통한 가치창출
ㅇ기술적 측면:정보 접근성의 용이
ㅇ국제적 측면:global화 및 개방화
ㅇ소비자 측면:소비패턴의 다각화 및 개성화
4.유통혁명 시대의 특성
ㅇ공급체인관리(SCM)
ㅇ경쟁우위 요소:정보, 시간
ㅇ기술우위 요소:정보, network
ㅇ고객.시장:개별 고객, one to one marketing, customization
ㅇ시장의 관점:상품에서 고객으로(상품이익에서 고객의 이익으로, market share에서
customer share로)
ㅇ조직체계:유연하고 개방적인 팀조직, network 조직
ㅇ이익원천:수익성에서 가치창출
5.의사결정의 종류
ㅇ조직계층:전략적 의사결정,관리적 의사결정,일상적 의사결정
ㅇ업무형태:비정형적 의사결정, 정형적 의사결정
6.의사결정의 단계
ㅇ문제인식-대안의 설계.제시-선택.실행
ㅇ소비자 구매의사 결정
-욕구인식>정보탐색>대안평가>구매결정>구매후 평가
7.바코드의 역사
8.국내 바코드 체계
ㅇ 표준형(KAN-13), 단축형(KAN-8)
ㅇ 표준물류코드(EAN-14, 심벌은 ITF-14)
ㅇ ISBN, ISSN
9.KAN 코드 활용분야
10.SKU(stock keeping unit)
11.마킹의 종류
ㅇsource marking
ㅇin-store marking
12.POS 시스템
ㅇ시스템 구성:POS 터미널, 스캐너, Store Controller
ㅇ효과
-계산원의 관리 및 생산성 향상
-효율적인 인력관리:labor scheduling program(LSP)
-점포 사무작업의 단순화
-가격표 부착작업의 절감
-품절방지 및 상품의 신속한 회전:단품 관리 가능, 자동발주
-고객관리
13.POS 데이터의 활용 단계
ㅇ제1단계:기본 POS 데이터 활용단계(매출 속보, SKU/item별 매출 조회 등)
ㅇ제2단계:상품기획 및 매장효율 제고단계(판촉활동, 진열관리)
ㅇ제3단계:재고관리, 자동발주
ㅇ제4단계:고객정보 활용한 판촉 등 마케팅 활동
ㅇ제5단계:경영정보시스템으로 활용
14.ABC 분석
ㅇ20:80의 법칙:Pareto
ㅇ매출/이익의 관점
ㅇ상품판단 기준표:decision table
15.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ㅇ정의
ㅇ도입 효과
ㅇ구성요소:UN/EDIFACT, 서비스제공업자(VAN 사업자), 이용자, 사용자 시스템
16.CALS의 변천
ㅇ1단계:Computer Aided Logistics Service, 병참업무 지원,1980년대 중반
ㅇ2단계:Computer Aided Acquisition & Logistics Service, 조달기능 추가, 1988년
ㅇ3단계: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민간기업 도입, 1991
ㅇ4단계:Commerce At Light Speed, EC로 발전
17.EDI/CALS/EC의 관계
ㅇ상거래를 전자적으로 처리:CALS(기술적 측면), EC(경영적 측면)
ㅇEDI:CALS/EC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정보기술
18.Internet/Intranet/Extranet
19.시스템
ㅇ시스템의 정의
ㅇ시스템의 구성
-환경(Environment)
-경계(Boundary):input과 output의 경계
-투입물(Input)
-산출물(Output)
-시스템 내부의 구성요소(Component)
-접속(Interface):시스템 간의 경계 영역
20.정보 시스템
ㅇ정의:
ㅇ정보시스템의 특성:
-인간과 컴퓨터간 시스템, 통합시스템
-정보시스템의 목표가 조직 전체의 목표와 일치
-의사결정 지원
ㅇ정보시스템의 구성
-Hardware, Software, Database, Network, 인적자원, 절차(Procedure)
21.유통정보 시스템
ㅇ정의
ㅇ유통정보 시스템의 기반 기술
-바코드, POS, EDI, VAN, Database, 인터넷
ㅇ유통정보 시스템의 구성요소
-내부환경:하드웨어 지원 등
-사용자 환경
-database
-지원체계
-응용 소프트웨어
22.물류정보 시스템
ㅇ목적:고객서비스 향상, 물류비 절감
ㅇ특징:격지자 간의 시스템, 다수기업 간의 시스템, 대량의 정보처리,
서비스 수준형 시스템, 지능형 시스템, 사전 처리형 시스템
ㅇ종류:수주처리 시스템, 창고관리 시스템, 수.배송관리 시스템,
물류관리 정보시스템
23.부가가치통신망(VAN)
ㅇ기능:기본통신 기능, 통신처리 기능, 정보처리 기능
ㅇ유통 VAN:제조업체, 유통업체(본사 구매부서/매장), 은행
24.SCM:Supply Chain Management
ㅇ정의:
ㅇ역사:미국 1980년대 의류분야 시초(QR), 1993년 ECR(식품)
-대표 사례:Wal-Mart와 P&G
ㅇ등장배경:고객 서비스 요구 증대, 시간의 경쟁,
Globalization(전세계 생산 및 공급 network 구축)
ㅇ도입효과
-거래투자 비용의 최소화
-자동보충을 통한 재고 감축
-개별화된 고객서비스 제공
-리드타임의 감축
-수평적 확장 용이
ㅇ핵심 기술
-EDI, 바코드
25.SCM의 응용 기술
ㅇ자동발주 시스템:CAO(Computer Aided Ordering)
ㅇ지속적인 상품보충:CRP(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s)
-pull 방식 vs push 방식
-VMI(vendor managed inventory), CMI(co-managed inventory)
ㅇCross Docking
ㅇCategory Management:개별 상품이나 brand가 아닌 상품군에 대한 이익과
판매를 강조(제조업체-유통업체 공동)
26.e-비즈니스/인터넷 비즈니스/전자상거래
ㅇe-비즈니스
-전자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거래 행위 외에 온라인 비즈니스에
참여하는 고객 및 업체와의 관계, 정보 흐름을 강조
-인터넷, 인트라넷,엑스트라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 online banking,
고객지원,지식경영,원격진료, 행정, 교육 등 network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업무(EC보다 넓은 개념)
ㅇ인터넷 비즈니스
-e-비즈니스가 N/W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인터넷 비즈니스는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짐
ㅇ전자상거래
-상거래+문서,정보 업무까지 포함:e-비즈니스에 가까움.
27.전자상거래 유형(거래 주체에 따른 분류)
ㅇB2C, B2B, B2G,C2G,C2C
28.전자상거래 사업의 구성요소(5C)
ㅇContents, Community, Commerce, Communication, Customization
29.전자상거래와 물류:물류 부문의 환경 변화
ㅇ제3자 물류(Third Party Logistics:3PL or TPL)
-가장 최근:제4자 물류(4PL) 등장
ㅇ물류 패러다임의 변화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물류기능별 서비스에서 통합서비스로
-실물기반 물류에서 인터넷기반 물류로(JIT에서 real time으로)
-보관물류 중심에서 무재고 물류로
-소품종 대량 물류에서 다품종 소량 물류로
30.전자결제 시스템
ㅇ인터넷 신용카드 시스템
-사이버 캐시 지불 시스템:1994년 Cyber Cash사
ㅇ전자자금 이체:EFT(Electronic Fund Transfer)
ㅇ전자수표 결제 시스템
-Net Bill:1996년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 개발
ㅇ전자화폐
-Mondex, Net Cash, Cyber Coin
-Kcash:1996년, 한국형 전자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