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
[스크랩] 아~~티베트
kongbak
2008. 4. 9. 10:35
출처 : 명지대 한재규 화백 저 만화한단고기



-------------
(#) 티벳 연보
-------------
1913. 1.
달라이 라마 13세, 티베트에 남아 있던 청 왕조의 군대를 내쫓고 티베트의 독립을
선언함.
1933.
달라이 라마 13세 툽텐 갸초, 포탈라궁에서 서거.
1935. 5. 5.
달라이 라마 14세 텐진 갸초, 동북 티베트의 탁처 지방에서 출생.
1936. 6. 2
텐진 갸초, 달라이 라마 13세의 화신으로 라사에 모셔짐.
1940.
텐진 갸초, 포탈라궁에서 달라이 라마 14세로 즉위하여 사자좌에 오르다.
1949. 10. 1.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1949. 11. 4.
섭정인 도도라 린포체, UPI통신을 통해「티베트가 주권국가임과 독립국가임」
을 선언하면서 외교사절을 미국, 영국과 인도에 파견할 용의가 있음을 천명.
1950. 1. 20.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티베트 정부에 대해, 티베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
이며 외교사절 파견의 권한이 없음을, 성명을 통해 발표하고, 평화적 해방을
위해 티베트의 대표가 북경으로 오도록 요망함.
1950. 1. 31.
중국(중공)군, 티베트를 제외한 모든 본토를 점령하였음을 선언하면서 주덕 장군은
제국주의 세력으로 부터 티베트의 해방울 주장.
1950. 10. 1.
주은래, 티베트의 해방과 국방 강화라는 명목으로 인민 해방군이 서쪽으로 진군
하도록 함.
1950. 10. 7.
중국(중공)군, 티베트를 침략하여 요충인 참도를 공격.
1950. 10. 25.
인도 정부, 평화적 수단에 의한 해결을 요망함.
1950. 10. 30.
중국(중공) 정부가 인도정부에, "티베트 문제는 중국의 내정문제"라는 각서를 보냄.
1950. 11. 16.
중국 정부 외교관, 인도 정부로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에 관한 설명서를 송부.
1950. 11.
서장 티베트족 자치구 인민정부 성립(인구 70만)
1951. 1. 5.
달라이 라마 14세, 친정에 임함. 달라이 라마 14세, 아베이의 제안을 받아들여
중국 정부와 교섭대표로 아베이를 임명.
1951. 4. 29.
아베이를 대표로 하는 대표단, 북경에서 화평 협의를 개시하다.
1951. 5. 23.
대표단, 티베트 평화의 명목으로 17개 협약을 조인.
1951. 8. 8.
중국 정부의 초대 공식 대표 장경무, 라사에 도착.
1952. 2. 10.
중국군의 티베트 군구, 장국화를 사령관으로 하여 발족. 판첸 라마, 라사로 귀환.
1953. 2.
북경에 티베트 정부의 대표부를, 라사에 중국 정부의 대표기관을 개설.
1954. 4. 29.
두 나라의 정부는 티베트-인도 간의 통신 및 교통에 관한 협정 조인.
1954. 6. 28.
중국·인도 두 나라의 수상이 [평화 5원칙]에 대한 공동 성명을 냄.
1954. 9. 15.
중국의 제1회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제1차 회의 개최. 티베트에서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를 포함하는 9명의 대표가 참석하다. 달라이 라마는 전국 인민대표자
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에, 판첸 라마는 상무위원에 선임됨.
1955. 7. 5.
서장성에서 반중국의 캄파족의 분쟁이 발생.
1955. 7.
인민대표회의 제2차 회의, 서장성(티베트 동부 지방)을 폐지하고 참도 지방 이외는
사천성에 귀속시킬 것을 결정.
1956. 7. 6.
인민정치협상회의 티베트위원회가 라사에서 발족되면서 달라이 라마가 의장,
판첸 라마가 부의장이 되었으며 장궈화가 중공 정부의 대표로 되었다.
1959. 2.
몬람 축제(정초 대기도회)를 위해 티베트 전국의 순례자가 라사로 모이자
중공군과의 관계가 심각해짐.
1959. 3. 10.
티베트 민중, 포탈라궁전 앞에 집결, 중국군과의 관계가 악화됨.
1959. 3. 17.
달라이 라마의 여름 별궁인 노불링카 궁전에 중국군의 박격포탄이 작렬.
1959. 3. 18.
달라이 라마 14세, 인도로 망명의 길에 오르다.
1959. 3. 20.
티베트 민중과 중국군과의 전투가 격렬해지다. 티베트 민중 대학살.
1959. 3. 21.
중국군, 라사를 제압하다.
1959. 3. 28.
중국 정부에 의해 티베트 정부의 권한을 백지화, 행정권을 티베트 자치구 준비
위원회에 접수시킴. 대리주임에 판첸라마를 임명.
1959. 3. 29.
망명중의 달라이 라마 일행, 인도 정부에 망명허가 신청.
1959. 4. 3.
네루 인도 수상, 달라이 라마 일행을 환영.
1959. 4. 8.
티베트 자치구 준비위원회, 민주 개혁의 개시를 선언.
1959. 4. 13.
네루 수상, 달라이 라마와의 회견.
1959. 5. 6.
인민일보, "티베트 혁명과 네루의 철학"을 발표.
1959. 6. 20.
달라이 라마, 무수리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제14차 UN총회에 보내는 성명을 발표.
1959. 10. 21.
"티베트 인민의 인권과 자유의 존중"을 요구하는 결의안 채택.
1961. 10.
UN은 전 가맹국에 1959년 티베트 인권선언의 이행을 요청.
1964. 11.
달라이 라마 14세의 인도 망명에 의해 티베트 망명에 의해 티베트 자치구
준비위원회 주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등의 공직이 중국
정부에 의해 파면됨.
1965. 9. 9.
중국, 티베트의 본토화가 완료되었다고 보고 "티베트 자치구"의 성립을 선언.
1967. 10.
달라이 라마 14세, 일본에 방문.
1968. 9. 5.
신장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에 혁명위윈회를 설치
1970.
티베트 독립을 위한 정치조직인 티베트 청년당(Tibetan Youth Congress)이 발족됨.
1978. 11.
달라이 라마 14세, 세계 불교도회의 참석차 일본 방문.
1987. 9.
달라이 라마 14세, 미국 의회를 방문하여 청문회에서 연설.
1987. 10. 1.
세라 사원의 승려들이 주동이 되어 [59·3 독립의거] 이후, 최대 규모의
독립 시위가 발생하였는데 군경의 억압으로 유혈사태가 되다.
1987. 10. 4.
시가체에서 독립의거, 유혈 사태가 됨.
1987. 10. 5.
라사에 군경 중원대가 대폭 투입되어 3개 사원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승려를 검거하고 신도를 체포하였으며 외국인의 입국까지도 통제하였다.
1987. 10. 6.
라사에서 또 다시 독립 시위가 발생하여 드레풍 사원의 승려 100여명이 시위
행진, 60여명이 체포됨.
1987. 10. 7.
중공군 티베트 점령 37주년 기념일인 이날부터 외부의 통신을 차단하였으며,
티베트 자치구 외사국장인 유우젠이 라사에 주재 외국기자 15명에게 48시간
내에 철수하도록 명령함.
1989.
3월 7일에 라사에 계엄령 선포. 14대 달라이 라마 노벨 평화상을 수상.
1990.
4월 30일까지 13개월째 계엄령 상태가 지속됨.
1991.
미국이 추첨에 의해 선택된 1000여명의 티베트 난민을 받아들임.
1993.
라사 시민들이 원칙적인 무상 의료제도에 대한 진료비 부과와 물가 폭등으로 시위.
1994.
달라이 라마의 거처였던 포탈라궁을 9백만 달러를 들여서 복원 공사를 함.
1995.
달라이 라마가 6살인 겐둔 최끼 니마(Gedhun Choekyi Nyima)를 11대 판첸 라마로 인정.
중국, 달라이 라마의 11대 판첸 라마 인정을 비난하고 판첸 라마를 납치.
1996.
동부 캄 지방, 금세기 최악의 눈보라로 42명 사망.
리장(Lijang)지방에 리히터 지진계 강도 7.0의 지진으로 200여명 사망.
1998. 4. 27.
인도 뉴델리, 티베트 청년당(Tibetan Youth Congress)에 의해 조직된 6명의
단식투쟁단 가운데 Thupten Ngodup이 분신을 하여 다음날 새벽에 사망.
1998. 4. 28.
달라이 라마 14세, 분신 사건에 대해 안타까움과 유감의 성명을 발표.
1998. 11. 10.
달라이 라마 14세, 미국에 방문해서 클린턴 대통령과 티베트 문제를 논의.
1999. 3. 10.
라사에서 일어났던 티베트 국민의 반중국 항거 40주년 기념일.
1999.4. 5.
TYC, 스위스 제네바의 UN본부 앞에서 무기한 단식투쟁 돌입. 5월 1일 중단.
1999. 5. 17.
11대 판첸 라마가 중국에 납치된지 4년째 되는 날. 당시 나이 6살.
--------------------------
(#) 티벳 국기의 상징적 의미
--------------------------
1) 중심에 눈으로 뒤덮인 장엄한 흰 산이 서 있다.
그것은 설산으로 둘러싸인 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위대한 티벳 국가를 상징한다.
2) 짙푸른 하늘에는 티벳 민족의 조상을 상징하는 6개의 붉은 띠가 펼쳐져 있다
: Se, Mu, Dong, Tong, Dru 및 Ra 라는 여섯 부족이며, 이들은 다시 12 부족(후손)을 두었다.
3) 6개의 붉은 띠(부족상징)와 여섯 개의 청색 띠의 결합은
오래 전부터 티벳과 밀접한 관계를 가져오면서 그들의 영적 가르침과 세속의 삶을 보호해 온
흑색 및 적색 수호신들의 덕행을 끊임없이 기려온 것을 상징한다.
3) 설산 정상에는 태양이 사방으로 찬란한 빛을 비추고 있다.
이것은 티벳 땅에 있는 모든 존재들이 자유, 정신적 물질적 행복,
그리고 번영을 동등하게 향유하는 것을 상징한다.
4) 산비탈에는 대담무쌍한 갈기들을 반짝이며 스노우 라이언 한 쌍이 당당하게 서 있다.
이것은 이 나라가 영적 및 세속적 삶을 조화롭게 성공적으로 결합시킨 업적을 상징한다.
5) 높이 받들고 있는 아름답고 영롱하게 빛나는 삼색의 보석은
티벳인들이 지닌 삼보(불교의 귀의의 대상: 부처, 불법 및 승가)에 대한 영원한 경건심을 상징한다.
6) 두 마리 사자들이 들고 있는 두 가지 색의 소용돌이 보석은
10 바라밀과 16가지 자비행의 수행으로 대표되는 옳고 바른 행위를 위한
끊임없는 자기 수행의 과정을 상징한다.
7) 마지막으로 사방을 장식하고 있는 노란색 띠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같은 정제된 황금이 사방으로 영원히 전파 발전되는 것을 상징한다.
(지도) 티벳의 위치

- 우리역사의 비밀 홈페이지-



-------------
(#) 티벳 연보
-------------
1913. 1.
달라이 라마 13세, 티베트에 남아 있던 청 왕조의 군대를 내쫓고 티베트의 독립을
선언함.
1933.
달라이 라마 13세 툽텐 갸초, 포탈라궁에서 서거.
1935. 5. 5.
달라이 라마 14세 텐진 갸초, 동북 티베트의 탁처 지방에서 출생.
1936. 6. 2
텐진 갸초, 달라이 라마 13세의 화신으로 라사에 모셔짐.
1940.
텐진 갸초, 포탈라궁에서 달라이 라마 14세로 즉위하여 사자좌에 오르다.
1949. 10. 1.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1949. 11. 4.
섭정인 도도라 린포체, UPI통신을 통해「티베트가 주권국가임과 독립국가임」
을 선언하면서 외교사절을 미국, 영국과 인도에 파견할 용의가 있음을 천명.
1950. 1. 20.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티베트 정부에 대해, 티베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
이며 외교사절 파견의 권한이 없음을, 성명을 통해 발표하고, 평화적 해방을
위해 티베트의 대표가 북경으로 오도록 요망함.
1950. 1. 31.
중국(중공)군, 티베트를 제외한 모든 본토를 점령하였음을 선언하면서 주덕 장군은
제국주의 세력으로 부터 티베트의 해방울 주장.
1950. 10. 1.
주은래, 티베트의 해방과 국방 강화라는 명목으로 인민 해방군이 서쪽으로 진군
하도록 함.
1950. 10. 7.
중국(중공)군, 티베트를 침략하여 요충인 참도를 공격.
1950. 10. 25.
인도 정부, 평화적 수단에 의한 해결을 요망함.
1950. 10. 30.
중국(중공) 정부가 인도정부에, "티베트 문제는 중국의 내정문제"라는 각서를 보냄.
1950. 11. 16.
중국 정부 외교관, 인도 정부로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에 관한 설명서를 송부.
1950. 11.
서장 티베트족 자치구 인민정부 성립(인구 70만)
1951. 1. 5.
달라이 라마 14세, 친정에 임함. 달라이 라마 14세, 아베이의 제안을 받아들여
중국 정부와 교섭대표로 아베이를 임명.
1951. 4. 29.
아베이를 대표로 하는 대표단, 북경에서 화평 협의를 개시하다.
1951. 5. 23.
대표단, 티베트 평화의 명목으로 17개 협약을 조인.
1951. 8. 8.
중국 정부의 초대 공식 대표 장경무, 라사에 도착.
1952. 2. 10.
중국군의 티베트 군구, 장국화를 사령관으로 하여 발족. 판첸 라마, 라사로 귀환.
1953. 2.
북경에 티베트 정부의 대표부를, 라사에 중국 정부의 대표기관을 개설.
1954. 4. 29.
두 나라의 정부는 티베트-인도 간의 통신 및 교통에 관한 협정 조인.
1954. 6. 28.
중국·인도 두 나라의 수상이 [평화 5원칙]에 대한 공동 성명을 냄.
1954. 9. 15.
중국의 제1회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제1차 회의 개최. 티베트에서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를 포함하는 9명의 대표가 참석하다. 달라이 라마는 전국 인민대표자
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에, 판첸 라마는 상무위원에 선임됨.
1955. 7. 5.
서장성에서 반중국의 캄파족의 분쟁이 발생.
1955. 7.
인민대표회의 제2차 회의, 서장성(티베트 동부 지방)을 폐지하고 참도 지방 이외는
사천성에 귀속시킬 것을 결정.
1956. 7. 6.
인민정치협상회의 티베트위원회가 라사에서 발족되면서 달라이 라마가 의장,
판첸 라마가 부의장이 되었으며 장궈화가 중공 정부의 대표로 되었다.
1959. 2.
몬람 축제(정초 대기도회)를 위해 티베트 전국의 순례자가 라사로 모이자
중공군과의 관계가 심각해짐.
1959. 3. 10.
티베트 민중, 포탈라궁전 앞에 집결, 중국군과의 관계가 악화됨.
1959. 3. 17.
달라이 라마의 여름 별궁인 노불링카 궁전에 중국군의 박격포탄이 작렬.
1959. 3. 18.
달라이 라마 14세, 인도로 망명의 길에 오르다.
1959. 3. 20.
티베트 민중과 중국군과의 전투가 격렬해지다. 티베트 민중 대학살.
1959. 3. 21.
중국군, 라사를 제압하다.
1959. 3. 28.
중국 정부에 의해 티베트 정부의 권한을 백지화, 행정권을 티베트 자치구 준비
위원회에 접수시킴. 대리주임에 판첸라마를 임명.
1959. 3. 29.
망명중의 달라이 라마 일행, 인도 정부에 망명허가 신청.
1959. 4. 3.
네루 인도 수상, 달라이 라마 일행을 환영.
1959. 4. 8.
티베트 자치구 준비위원회, 민주 개혁의 개시를 선언.
1959. 4. 13.
네루 수상, 달라이 라마와의 회견.
1959. 5. 6.
인민일보, "티베트 혁명과 네루의 철학"을 발표.
1959. 6. 20.
달라이 라마, 무수리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제14차 UN총회에 보내는 성명을 발표.
1959. 10. 21.
"티베트 인민의 인권과 자유의 존중"을 요구하는 결의안 채택.
1961. 10.
UN은 전 가맹국에 1959년 티베트 인권선언의 이행을 요청.
1964. 11.
달라이 라마 14세의 인도 망명에 의해 티베트 망명에 의해 티베트 자치구
준비위원회 주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등의 공직이 중국
정부에 의해 파면됨.
1965. 9. 9.
중국, 티베트의 본토화가 완료되었다고 보고 "티베트 자치구"의 성립을 선언.
1967. 10.
달라이 라마 14세, 일본에 방문.
1968. 9. 5.
신장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에 혁명위윈회를 설치
1970.
티베트 독립을 위한 정치조직인 티베트 청년당(Tibetan Youth Congress)이 발족됨.
1978. 11.
달라이 라마 14세, 세계 불교도회의 참석차 일본 방문.
1987. 9.
달라이 라마 14세, 미국 의회를 방문하여 청문회에서 연설.
1987. 10. 1.
세라 사원의 승려들이 주동이 되어 [59·3 독립의거] 이후, 최대 규모의
독립 시위가 발생하였는데 군경의 억압으로 유혈사태가 되다.
1987. 10. 4.
시가체에서 독립의거, 유혈 사태가 됨.
1987. 10. 5.
라사에 군경 중원대가 대폭 투입되어 3개 사원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승려를 검거하고 신도를 체포하였으며 외국인의 입국까지도 통제하였다.
1987. 10. 6.
라사에서 또 다시 독립 시위가 발생하여 드레풍 사원의 승려 100여명이 시위
행진, 60여명이 체포됨.
1987. 10. 7.
중공군 티베트 점령 37주년 기념일인 이날부터 외부의 통신을 차단하였으며,
티베트 자치구 외사국장인 유우젠이 라사에 주재 외국기자 15명에게 48시간
내에 철수하도록 명령함.
1989.
3월 7일에 라사에 계엄령 선포. 14대 달라이 라마 노벨 평화상을 수상.
1990.
4월 30일까지 13개월째 계엄령 상태가 지속됨.
1991.
미국이 추첨에 의해 선택된 1000여명의 티베트 난민을 받아들임.
1993.
라사 시민들이 원칙적인 무상 의료제도에 대한 진료비 부과와 물가 폭등으로 시위.
1994.
달라이 라마의 거처였던 포탈라궁을 9백만 달러를 들여서 복원 공사를 함.
1995.
달라이 라마가 6살인 겐둔 최끼 니마(Gedhun Choekyi Nyima)를 11대 판첸 라마로 인정.
중국, 달라이 라마의 11대 판첸 라마 인정을 비난하고 판첸 라마를 납치.
1996.
동부 캄 지방, 금세기 최악의 눈보라로 42명 사망.
리장(Lijang)지방에 리히터 지진계 강도 7.0의 지진으로 200여명 사망.
1998. 4. 27.
인도 뉴델리, 티베트 청년당(Tibetan Youth Congress)에 의해 조직된 6명의
단식투쟁단 가운데 Thupten Ngodup이 분신을 하여 다음날 새벽에 사망.
1998. 4. 28.
달라이 라마 14세, 분신 사건에 대해 안타까움과 유감의 성명을 발표.
1998. 11. 10.
달라이 라마 14세, 미국에 방문해서 클린턴 대통령과 티베트 문제를 논의.
1999. 3. 10.
라사에서 일어났던 티베트 국민의 반중국 항거 40주년 기념일.
1999.4. 5.
TYC, 스위스 제네바의 UN본부 앞에서 무기한 단식투쟁 돌입. 5월 1일 중단.
1999. 5. 17.
11대 판첸 라마가 중국에 납치된지 4년째 되는 날. 당시 나이 6살.
--------------------------
(#) 티벳 국기의 상징적 의미
--------------------------
1) 중심에 눈으로 뒤덮인 장엄한 흰 산이 서 있다.
그것은 설산으로 둘러싸인 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위대한 티벳 국가를 상징한다.
2) 짙푸른 하늘에는 티벳 민족의 조상을 상징하는 6개의 붉은 띠가 펼쳐져 있다
: Se, Mu, Dong, Tong, Dru 및 Ra 라는 여섯 부족이며, 이들은 다시 12 부족(후손)을 두었다.
3) 6개의 붉은 띠(부족상징)와 여섯 개의 청색 띠의 결합은
오래 전부터 티벳과 밀접한 관계를 가져오면서 그들의 영적 가르침과 세속의 삶을 보호해 온
흑색 및 적색 수호신들의 덕행을 끊임없이 기려온 것을 상징한다.
3) 설산 정상에는 태양이 사방으로 찬란한 빛을 비추고 있다.
이것은 티벳 땅에 있는 모든 존재들이 자유, 정신적 물질적 행복,
그리고 번영을 동등하게 향유하는 것을 상징한다.
4) 산비탈에는 대담무쌍한 갈기들을 반짝이며 스노우 라이언 한 쌍이 당당하게 서 있다.
이것은 이 나라가 영적 및 세속적 삶을 조화롭게 성공적으로 결합시킨 업적을 상징한다.
5) 높이 받들고 있는 아름답고 영롱하게 빛나는 삼색의 보석은
티벳인들이 지닌 삼보(불교의 귀의의 대상: 부처, 불법 및 승가)에 대한 영원한 경건심을 상징한다.
6) 두 마리 사자들이 들고 있는 두 가지 색의 소용돌이 보석은
10 바라밀과 16가지 자비행의 수행으로 대표되는 옳고 바른 행위를 위한
끊임없는 자기 수행의 과정을 상징한다.
7) 마지막으로 사방을 장식하고 있는 노란색 띠는
부처님의 가르침과 같은 정제된 황금이 사방으로 영원히 전파 발전되는 것을 상징한다.
(지도) 티벳의 위치

- 우리역사의 비밀 홈페이지-
출처 : 아~~티베트
글쓴이 : 새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