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學산책

(91) 현대는 3개국 언어 정도는 해야한다

kongbak 2007. 6. 6. 09:02
 

(91) 현대는 3개국 언어 정도는 해야한다


* 3개 국어 동시사용 : 엔진(Engine) 조시(調子 : 일본말) 좋다


* 수학을 배우는 3가지 이유

 1. 논리성을 배운다(논리성)  2. 실용적이다(실용성)  3. 아름답다(심미성)


* 계산의 3대 발견

  1. 기수법  2. 네이피어의 로그  3. 스테빈의 소수의 발견


* 차원

    0차원  1차원   2차원   3차원

    점   -  선  -  평면 - 입 체

    농경 - 산업 -  현대 - 미 래



* 로그는?

1. 곡선을 직선으로 만들어 버렸다.

2. 곱하기를 더하기로 만들어 버렸다.


** 1 mile : 빵을 굽는 시간 (약 20분) 동안에 사람이 걷는 거리 (약 1.6Km) **


(92) 한국의 위치


 ‘50년대 수출 : 1위 품목 중석, 4위 한천, 6위 김, 8위 돈모(돼지털)

 6.25 때 참전한 필리핀 국민소득 700$, 한국 국민소득 60$

 ‘60년대 수출 : 1위 의류, 2위 합판, 3위 가발, 7위 김

 ‘63년도 도시근로자 지출 6300원

 ‘70년도 수출량 약 10억$

 현재 우리 나라 국민소득은 약 10000$정도, 필리핀 1000$정도


 선거공약


선거공약도 시대별로 바뀌었다.

 1960년대 : 다리를 놓겠다.

 1970년대 : 도로포장을 하겠다.

 1980년대 : 고속도로․공단․항만을 만들겠다.

 1990년대 : 지하철 ․첨단산업을 유치하겠다.

 2000년대 : 헛 공약 후보 많이 떨어지다.


‘잘 살아졌다’의 수학적 의미


 한 세대 즉 30년 동안 2배로 잘 살아지면 ‘살기가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한다고 하는데 우리 나라는 약 오십 배 잘 살아졌으니 모두가 정말 부자가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할아버지는 절대빈곤, 아버지는 절대빈곤시대에서 절대풍요로, 자식은 절대풍요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대 차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아버지가 자기보다 좋은 담배를 피우는 대학생 아들보고 나무라자 아들 왈(曰),

 ‘아버지는 가난한 농군의 아들이지만, 나의 아버지는 부자이다’고 대답하였다.


이래도 되는가?


한국인의 물 소비량은 독일인보다 3배 많고, 냉 난방비는 4배, 자동차 연료소비는 3배 많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IMF위기를 맞았습니다.


** 2012 - 자동동시 통역컴퓨터

   2020 - 지구촌 하루 생활권 **



(93) 일본의 천재 풍속화가 샤라쿠


 일본의 에도(江戶)시대의 천재 풍속화가 샤라쿠는 1794년 5월 갑자기 나타났다가 140여점의 그림을 남기고 홀연히 사라져 버린 신비의 인물이다.

 고흐 등 유럽 인상파화가들에게 까지 영향을 미친 샤라쿠의 존재를 놓고 추측이 난무했다. 

 정밀하고 해학적인 화풍으로 볼 때 단원 김홍도(1745 - 1806)라는 설이 있다.


 샤라쿠의 주 활동 기간인 1794년 무렵 연풍(延豊)현감이던 단원이 작품도 내놓지 않고 행적이 묘연하다는 사실이 신빙성을 부채질했다.


 밀정


 1764년 이후 30년간 통신사의 왕래가 없어 일본상황이 궁금했던 정조는 화약을 비롯한 일본의 병기상태 등 정보가 필요했다.

 실제 밀정을 보내려고 했던 기록도 있다.

 그래서 정조는 김홍도로 하여금 일본의 실정을 그려오라고 시켰는데 일본에 잠입한 단원은 여비를 비롯한 활동자금을 마련키 위해 샤라쿠라는 이름으로 풍속화를 그렸다는 주장이다.


** 인생이란 태양에 바래지면 역사가 되고, 월광에 물들면 신화가 되는 법 **


** 정조는 정말 똑똑한 사람 - 수원성 축조과정을 보며 **



(94) 마음 가는 대로 해라 - 앤드류 매튜스

     (멋대로 살면서 최고로 성공하기 10계명)


1. 시련을 두려워 마라.                

2. 만나는 사람 모두를 삶의 스승으로 여기자. 

3. 뿌리깊은 고정관념을 버리자.               

4. 집착할수록 멀어진다.             

5, 세상일은 생각대로 된다. 상황을 늘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6. 삶은 투쟁이 아니다. 마음가는 대로 살며 삶을 즐기자.

7. 사랑의 눈으로 이웃과 세상을 보자.

8. 과거를 후회하거나 미래를 걱정하지 말자. 오직 현재를 소중히 여기자.

9. 사랑한다면 상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사랑하자.

10. 세상을 변화시키려 하지 말고 나 자신부터 변화시키자.


** 남녀간의 에로스는 사랑하는 사람들에겐 로맨스지만 남들에게는 스캔들이다 - 이병주 **


** 믿음과 사랑과 소망 중에 그 중의 제일은 믿음이다 - 나의 생각 **



(95) 옥스퍼드 대학의 입학시험 수학문제


 소크라테스는 독배를 마셨다.

 그 때 그 독배에서 날아간 독이 대기권에 떠돌다가 지금 여러분이 아침에 마신 커피 잔에 내려앉은 확률을 구하여라.


** 우리 나라 : 이런 문제 내었다가 쫓겨나지 않을 확률을 구하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