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바흐
[스크랩] "지문적성검사, 얼마나 정확한 걸까?
kongbak
2006. 12. 11. 12:08
"지문적성검사, 얼마나 정확한 걸까?
유치원생 엄마들과 취업 준비생들의 관심 집중
우리 아이들은 과연 어떤 일을 더 잘할 수 있을까? 우리 아이들에게는 과연 어떤 적성이 있을까? 이런 고민은 아이를 둔 부모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아이들의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가장 널리 행해지는 것은 다양한 적성검사. 최근엔 지문으로 적성을 알 수 있다는 검사방법이 출현해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어린이와 취업 준비생들 사이에 지문으로 하는 적성검사가 화제가 되고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양손 손가락의 지문(指紋)과 흔히 손금이라고 불리는 손바닥 무늬, 즉 장문(掌紋)을 찍어 그 모양을 보고 적성과 인성을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적성을 다중지능이론에 따라 나누고, 그 지능들 중 어떤 지능이 아이에게 더 우월하게 발달되었는가를 지문의 모양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중지능이론이란 미국 하버드대학원의 발달심리학자인 하워드 가드너 박사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인간의 지능이 IQ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눠진다는 것이다. 그는 언어지능,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공간적 지능, 음악적 지능, 자연탐구적 지능, 자기이해 지능 등 여덟 가지의 지능을 제시했다.
손바닥 무늬를 통해서는 학습민감도(학습대상을 얼마나 잘 받아들이느냐의 정도)를 알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외에도 피문 연구는 인성과 적합한 학습방법까지 알 수 있어 진로지도에 유용하다는 것.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문을 이용해 적성을 검사해주고 있는 회사는 3~4개. 그 검사방법과 분석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 회사가 실시하는 지능적성검사는 약 20년 전에 대만에서 개발되었으며 일본과 우리나라로 전파되었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약 3년 전부터.
이 검사가 이론적으로 기반을 둔 것은 피문학(dermatoglyphics 皮紋學)이란 학문이다. 피문학이란 말 그대로 피부에 나 있는 무늬를 연구하는 학문. 손가락 끝의 무늬인 지문과 손바닥의 무늬 장문, 그리고 발바닥 무늬인 족문(足紋)이 피문에 속한다. 이중 적성과 인성을 알려주는 것은 지문과 장문이라고 한다. 이 학문은 182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지금까지 주로 범죄학이나 의학 분야와 관련되어 연구돼 왔으며 최근엔 인류학이나 심리학과 관련된 논문도 발표되고 있다.
지문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 지문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인 임신 13~19주에 염색체의 유전자 컨트롤을 받아 결정되어 태어난 후에도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지문이 유전자 정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지문을 통해 유전적인 지능과 인성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업체들의 주장. 지능과 인성은 평생을 통해 10~15% 정도만 변화하므로 성장과 학습, 환경과 심리 등에 따라 결과가 변하는 다른 각종 적성검사와 달리 한번 측정한 결과가 어른이 될 때까지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각각의 지문적성검사 사이트를 방문하여 자세히 살펴봤지만 지문과 지능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자세히 설명한 곳은 없었다. 지문학의 역사와 어떤 논문들이 발표되었는지는 알 수 있었지만, 각각의 지문이 어떠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그렇게 분석될 수 있는지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지능적성검사를 행하고 있는 유관 업체들 역시 지문분석의 방법은 너무 전문적이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해도 알 수 없고, 알려줄 수도 없다는 입장. 다만 지문을 적성 판단의 근거로 삼는 과학적 근거는 대뇌생리학에 기반하고 있다고 한다. 즉, 지능은 대뇌 기능에 관련 있으며 대뇌의 기능이 지문과 관련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지문과 대뇌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에 의해 여러 가지 지능 중 어떤 것들이 다른 것들보다 더 우월한가를 판단할 수도 있다는 것.
한편 자문을 구했던 서울 모 대학 교육학과 교수는 그런 주장에 극히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100년 이상 연구되어온 뇌과학도 뇌의 기능에 대해 규명하지 못한 것이 많은 판국인데 그런 논리는 납득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지문으로 지능을 검사한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검증될 수도 없고, 타당하지도 않은 이야기라고 말했다.
여성조선
|
출처 : "지문적성검사, 얼마나 정확한 걸까?
메모 :